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약먹지 않고 감기 퇴치는 법 약먹지 않고 감기 물리치는 법 식보가 약보보다 낫다는 말이 있듯이...... 평소 영양가 있는 음식을 고루 섭취하면 감기에 잘 걸리지않으며 치료도 빠르게 된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쉬는 것’을 감기에 제일 좋은 약으로 여긴 것도 이 때문. 요리연구가 안승춘씨는 “감기에 걸렸을 때는 비타민과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어 영양을 충분히 공급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수분을 적당히 섭취하면 가래 등 분비물의 용해가 쉬워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비타민 C가 풍부한 음식은 감, 사과, 귤, 시금치, 양배추, 호박 등이며,단백질은 쇠고기나 콩류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한의학에선 고춧가루를 듬뿍 친 콩나물국을 권하기도 하는데,이는 고춧가루와 콩나물에 비타민 C가 풍부한데다 고춧가루가.. 더보기
기침이 날때 완화하는법 기침은 기도 안에 생긴 이물을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방어적인 반사 운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음식물이 기도에 들어갔거나 이물이 기관에 들어갔거나, 연기나 가스가 기도에 들어갔을 때하는 기침은 기계적 자극에 의한 방어적 반응인 것입니다. 그러나 감기, 편도염, 기관지염, 폐염, 기관지천식, 폐결핵 때 기침을 하는 것은 기관지에 어떤 병변이 생겨서일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침은 가래가 섞여 나는 습한 기침과 가래가 없이나는 마른 기침이 있습니다. 마른 기침이 나는 경우는 주로 늑막염인데 기침할 때마다 병이 생긴 쪽 가슴이더 아파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습한 기침은 감기, 폐염,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폐결핵 때 볼 수 있습니다. 이때 기침은 병이 심하면 많은 가래가 나오며 병이 나아가면 가래도 점차 .. 더보기
하품에 대한 6가지 사실 우리는 피곤할 때만 하품을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산소가 부족해서 하는 것도 아닌 것으로 보인다. 사람이 왜 하품을 하는지에 대해 수많은 이론이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는 드물다. 10일 미국 허핑턴포스트는 6가지 핵심 사실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하품은 뇌를 식히는 작용이며 사회적 감정 이입의 결과다. ◆뇌를 식히는 기능을 한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하품의 기능은 뇌를 식히는 데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입을 크게 벌렸다 닫는 동작은 코 옆의 동굴인 부비동을 팽창 후 수축시킨다. 이렇게 해서 부비동은 풀무처럼 뇌에 공기를 불어넣어 온도를 낮춰준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보도다. 이에 따르면 여름보다 겨울에 하품을 많이 한다. 여름에는 외부 공기가 따뜻해서 뇌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적기 때문으로 해.. 더보기
코로나 19 기재부주관 회의 내용 오늘 기재부 주관 제약회사 사장들과의 코로나19 관련회의 요약 내용 1. 현재 치료약 없음. 환자는 산소를 불어넣는 치료를 하는데 폐기능이 약한사람은 방법이 없이 방치. 2. 치료가 되어도 일반 폐렴보다 폐손상이 많아서 폐활량 손실이 엄청 큼. 3. 백신은 4월경이 되어야 나올것임. 4. 이 바이러스는 곧바로 폐를 손상시킴. 5. 금년 4월까지 하나투어 모두투어를 제외한 나머지 여행사는 모두 부도. 정부에 인건비 50% 보조 요청. 6. 2월달 제주 여행 취소 98%. 7. 메르스는 일정지역 여행만 자제가 되어 전 세계 관광에 부분적 영향. 이번 코로나는 전 세계 대상. 8. 우리나라는 4월이 peak가 될 것임. 요점은 절대 걸리지 말 것. 치료되어도 완치가 아니고 폐 손상이 너무 심각. 신종 코로나 .. 더보기
士/師/使/事의 차이 士/師/使/事의 차이 士/師/使/事, 그 차이가 무엇일까요? 법정에서 재판을 할 때면 판사와 검사, 그리고 변호사가 있고, 대형 사건의 경우에는 법정 서기로 속기사가 있습니다. 이들의 한자 표기는 각각 判事, 檢事, 辯護士와 速記士입니다. 가만히 보면 끝에 쓰이는 ‘사’의 한자가 서로 다른 ‘事’와 ‘士’입니다. 다 같이 법을 다루거나, 법정에서 일하는데 말입니다. 또 흔히 ‘사’ 자 붙은 사람들이라 하여 권력이 있거나 돈벌이가 잘되는 사람들을 손가락질 할 때 열거하는 직업들이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된 판.검사와 변호사 외에도 이를테면 의사, 약사, 변리사, 감정평가사, 회계사 등이 그런 부류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 직업의 한자 표기는 각각 醫師/藥師/辨理士/鑑定評價士/會計士. 여기서도 끝에 .. 더보기
萬病(만병)을 부르는 冷氣(냉기). 萬病(만병)을 부르는 冷氣(냉기). 癌(암)을 비롯해 소위 成人病(성인병)은 40세를 경계로 급격하게 늘어나는데, 癌(암)이 50세를 넘길 무렵부터 생기는 이유는 體熱(체열) 저하, 즉 新陳代謝(신진대사)의 저하, 그에 따라 야기되는 免疫力 低下(면역력저하)가 癌(암)을 부르는 것이다. ★♡ 몸을 따뜻하게 하는 식품과 차게 하는 식품 1. 차게 하는 식품 - 커피는 아무리 뜨겁게 마셔도 몸을 차게한다. - 식초, 우유, 맥주, 위스키, 콜라, 주스 등 물기가 많은 것은 몸을 차갑게 한다. - 밀가루 음식은 몸을 차갑게 한다. - 바나나, 파인애플, 레몬 등 열대 과일은 몸을 차갑게 한다. - 달콤한 음식은 몸을 차갑게 한다. (과자, 초콜릿, 케이크, 쿠키 등) * 과식은 몸을 차게 한다. 2. 따뜻하게.. 더보기
나무 젓가락이 이렇게 무섭다 나무젓가락이 이렇게 무섭다?! 나무젓가락 안좋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이 정도인 줄은 몰랐네요. 다들 산에 갈 때 집에서 젓가락 잘 챙겨서 갑시다!~ 독극물 덩어리 나무 젓가락 나무 젓가락은 컵라면, 자장면, 짬뽕 등을 먹을 때의 필수품(?)일 뿐 아니라 아이들이 무심코 씹고 빨며 우리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물건이다. 거의 전량 중국에서 수입되는 나무 젓가락의 순백색 살결 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을까? 얼마전 TV '불만제로'에서 나무젓가락의 안전성을 실험해 보았다. 그 실태는 엄청났다. 그 심각성을 우리 한살림 조합원들에게 다시 한 번 알려주고자 한다. 중국의 나무젓가락 생산 공장에서는 표백제와 곰팡이 방지제로 공업용 과산화수소수, 아황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양잿물)을 사용하고 광택제로 탈크(활석가루)를.. 더보기
개봉한 안약, 한 달 지나면 쓰지 마세요 개봉한 안약, 한 달 지나면 쓰지 마세요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8.09 09:09 개봉 전일 경우 유통기한 3년… 개봉 후 오염 노출 쉬워 주의 /클립아트코리아 안약(眼藥)을 집에 두고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일회용이 아닌 다회용(多回用) 안약은 사용기한이 매우 짧으므로 주의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