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생활정보 썸네일형 리스트형 [귀농·귀촌 부동산 이야기] (42) 인연의 내 땅 만나려면 [귀농·귀촌 부동산 이야기] (42) 인연의 내 땅 만나려면 아무 땅에 반해 비싼 대가 치르기도 충분히 많은 곳 둘러보고 가려내야 어떤 땅을 처음 볼 때 남향, 배산임수, 조망, 교통망, 청정 환경 등 객관적인 조건만 중요한 것은 아니다. 객관적인 사실 외에도 뭔가 포근하고 아늑한, 그래서 끌어당기는 느낌이 오는 땅이 있다면 자주 찾아가 그 느낌을 재차 확인해본다. 땅도 인연이다. 객관적인 조건이 좋은 땅이라고 해도 누구에게나 ‘이거다!’라는 느낌을 주는 것은 아니다. 청춘남녀가 만날 때 ‘첫눈에 반했다’는 말이 있다. ‘필(Feel)’이 꽂혔다는 얘기다. 땅도 마찬가지다. 내 것이 될 땅은 처음 만날 때 그 느낌이 팍 온다. 나와 땅의 궁합이 맞는다는 것이고, 결국 그게 ‘나의 명당’이다. 첫눈에 반해.. 더보기 “윤희숙 부친, 서울 살며 세종서 농사”...농지법 위반 입건 “윤희숙 부친, 서울 살며 세종서 농사”...농지법 위반 입건 신정훈 기자 입력 2021.10.01 13:16 세종시 전의면 신방리 일대 모습. 최근 국민권익위원회는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의 부친이 2016년 이 일대 논 1만871㎡를 사들였던 것과 관련해 농지법과 주민등록법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했다. /연합뉴스 세종시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윤희숙 전 국민의힘 의원 부친이 농지법 위반 등의 혐의로 경찰에 입건됐다. 세종경찰청 광역수사대는 농지법과 주민등록법 위반 혐의로 윤모(85)씨를 불구속 입건해 수사 중이라고 1일 밝혔다. 윤씨는 농사를 짓겠다며 2016년 3월 세종시 전의면 일대 논 1만871㎡(약 3300평)를 사들였다. 하지만 그는 실제로는 서울에 거주하면서 현지 주민에게 농사를 맡겨 관련 규.. 더보기 경남농기원, 신품종 단감 5종 선보여 유튜브경남농기원, 신품종 단감 5종 선보여 입력 : 2021-09-29 00:00 경남도농업기술원은 추석 전후로 출하가 가능한 조·중생종 단감 신품종 5종을 육성하고 현장품평회를 열었다. 경남도농업기술원(원장 정재민)이 단감 신품종 5종을 선보였다. 이들 신품종은 9월 중순∼10월 상순에 수확하는 조·중생종으로 추석 전후로 출하할 수 있어 농가소득 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농기원은 최근 김해시 진영읍 단감연구소에서 단감 주산지 농협 9곳과 시농업기술센터 관계자, 농민 등을 초청해 ‘경남 단감 신품종 현장품평회’를 가졌다. 이번에 소개된 신품종은 다. 는 9월에 수확하는 고당도 대과종으로 추석을 겨냥해 육성됐다. 보다 15일가량 빠른 9월24일경이면 완숙되는 게 특징이다. 는 높은 당도를 자랑.. 더보기 경북 영주군 평은면 오운리 1161번지 186평을 단돈 천만원매도 현황도로 끝에서 돌아서 15m 하천부지 경유 본토지 접근합니다. 불교신자는 바로 곁에 작은 암자가 있어서 예불드리기 좋습니다 경북 영주군 평은면 오운리 1161번지 186평 용도 현재 주말농장 가족묘지 전원주택 (가능) 가격 평당 53,000원으로 총액 10.000.000원 이이하 싼 가격으로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010-8654-0123 더보기 지리산 자락에서 발견된 1억 2천만원자리 '산삼' 비주얼 지리산 자락에서 발견된 1억 2천만원자리 '산삼' 비주얼 인사이트|2일 전 경남 함양군 휴천면 지리산 자락에서 발견된 5대 가족 천종산삼 (사진 = 한국전통심마니협회) / 뉴시스 [뉴시스] 김윤관 기자 = 경남 함양군 휴천면 지리산 자락에서 가족 천종산삼이 또 발견됐다. 20일 한국전통심마니협회에 따르면 함양에 사는 약초꾼 황모(67) 씨가 지난 15일 휴천면 지리산 자락을 산행하던 중 5대를 이은 가족 천종산삼 9뿌리를 발견해 감정을 의뢰했다. 이 산삼은 짙은 황색에 소나무의 나이테와 같은 뇌두가 어미 산삼인 모삼과 2, 3대 산삼을 제외하고는 매우 뚜렷하게 형성돼 있다. 경남 함양군 휴천면 지리산 자락에서 발견된 5대 가족 천종산삼 (사진 = 한국전통심마니협회) / 뉴시스 모삼과 2, 3대 산삼은 여.. 더보기 건수피하는 장법(葬法)과 명당건물 만들기 건수피하는 장법(葬法)과 명당건물 만들기 [노병한의 명당산책 시리즈54] : 건수 무서우면 혈토 못 찾아 노병한 풍수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12/06/29 [22:50] 땅속이라는 흙(土)속은 본래 물(水氣)을 품고 있는 물의 천지다. 암탉이 알(卵)을 품듯이 자연의 어머니(母)격인 대지의 흙이 물의 수분을 품고 있다. 이런 물은 서로 잡아당기는 응집력과 만유인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지구의 중심부로 향하려는 중력이 함께 존재하는 물리(物理)를 가짐이 자연현상이다. 그래서 물의 물리(物理)는 항상 낮은 곳을 향해서 흐르려는 성질을 가진다. 이렇게 땅속의 물은 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의 밑으로 더 아래의 밑으로 계속 흘러서 내려가는 성질을 가진다. 그러므로 땅속의 일정한 지점까지는 흙이 뽀송뽀송해 물기가 .. 더보기 풀무치,10번째 식용곤충으로 인정받아 풀무치,10번째 식용곤충으로 인정받아 임지영 기자 승인 2021.09.14 메뚜기보다 약 2배 이상 크고 사육기간도 짧아 세계 곤충시장, 2026년까지 15억 달러 규모 성장할 것 [사진=풀무치/식약처 제공] 미래의 식량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식용곤충 중 10번째로 풀무치가 식용곤충으로 인정받았다.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촌진흥청은 메뚜기과 곤충 풀무치를 새로운 식품원료로 인정했다고 밝혔다. 농진청은 지난 2년간 풀무치의 특성, 영양성, 독성 등 위해성 평가와 제조공정 표준화를 연구했고 식약처는 8개월에 걸친 안전성 심사등을 걸쳐 새로운 식품원료로 풀무치를 인정하게 됐다. 풀무치는 식용곤충인 벼메뚜기와 같은 메뚜기목 메뚜기과로 벼메뚜기보다 크기가 약 2배 이상 크며 사육기간도 절반 정도로 짧으며 사료.. 더보기 강한 태풍 ‘찬투’ 추석 직전 한반도 온다 강한 태풍 ‘찬투’ 추석 직전 한반도 온다 송혜미 기자 입력 2021-09-13 03:00수정 2021-09-13 03:20 제주 15일까지 최대 500mm 폭우 내일부터 전남-경남 해안도 많은 비 강한 위력의 14호 태풍 찬투(CHANTHU·캄보디아의 꽃 이름)가 한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보됐다. 추석 연휴 직전 남부지방에 ‘물폭탄’을 쏟을 가능성이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12일 기상청에 따르면 찬투는 이날 오후 9시 현재 대만 타이베이 북동쪽 약 180km 부근 해상에서 북진하고 있다. 찬투는 한때 ‘초강력’ 태풍으로 발달했다가 약해졌다. 하지만 여전히 중심기압 950hPa(헥토파스칼), 최대 풍속 초속 43m로 강한 위력을 보이고 있다. 현재 예보대로라면 찬투는 15일까지 중국 상하이.. 더보기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