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癌 조기 발견에 달렸다

癌 조기 발견에 달렸다

 

<1> 조기 발견은 이렇게

 

많은 암 환자가 이런 후회를 한다. 모든 질병이 그렇지만 암은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암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완치율이 높아진다. 발생률이 높은 6대 암은 대부분 효과적인 조기 검진법이 개발돼 있어 일찍 발견만 하면 완치가 가능하다.

동아일보는 삼성암센터와 공동으로 ‘암, 조기 발견에 달렸다’ 시리즈를 연재한다. 암 종류별로 조기 발견법과 최신 치료법을 소개하고 체계적인 암 검사 계획을 세우는 방법을 5회에 걸쳐 알아본다.

회사원 김영길(46·서울 강동구 천호동) 씨는 지난해 초 건강검진을 처음 받은 뒤 가슴을 쓸어내렸다. 위내시경 검사에서 혹이 발견됐고 조직검사 결과 조기 위암 판정을 받은 뒤 외과에서 위암 수술을 무사히 받고 건강을 되찾았다. 김 씨는 “바쁘다는 핑계로 미뤄 오다가 가족들의 계속된 권유로 검사를 받게 됐다”면서 “평소 술자리가 잦았고 20년 이상 담배를 피웠으면서도 건강을 과신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초기암 90% 완치… 40대 되면 정기검진을

김 씨는 운이 좋은 경우다. 그러나 상당수의 환자는 조기 검진을 소홀히 해 말기에 암이 발견된다. 위암은 조기에 발견되면 90% 정도 완치가 가능하지만 말기에 발견되면 완치율은 12%로 떨어진다.

심영목 삼성암센터장은 “암의 조기 발견은 누구에게나 중요하지만 40대에 접어들었거나, 가족 중에 암에 걸린 사람이 있거나, 간염 등이 있는 고위험군의 사람들은 체계적인 암 검사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 조기 발견이 가능한 암

암을 이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암을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다. 암 완치율의 가장 결정적인 변수는 암의 진행 정도다.

초기암의 완치율은 90% 이상이다. 2기에는 60∼70%, 3기에는 30∼50%로 떨어지고, 4기가 되면 완치율은 20%를 넘지 못한다.

조기 검진만 잘해도 10년 뒤 암 사망률이 약 30% 감소하고, 6대 암 중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은 모두 효과적인 조기검진법이 잘돼 있어 조기 발견으로 완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위암을 조기에 발견하려면 40세 이상에서 2년마다 위내시경검사 또는 위장조영촬영술을 받도록 한다.

B형과 C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6개월마다 간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대장암은 50세 이상에서 5년마다 대장내시경검사 또는 대장조영촬영술을 받도록 한다.

40세 이상의 여성이라면 2년마다 유방촬영술과 유방진찰을 받고 유방암 여부를 알아보도록 한다.

자궁경부암이 걱정된다면 매년 자궁경부질세포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 첨단 영상기기로 조기 발견

암 진단에 주로 사용되는 X선,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촬영은 종양 크기가 1cm 이상, 무게 1g 이상이 돼야만 식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때는 벌써 암세포 수가 이미 10억 개를 넘은 상태이다. 종양 크기가 1cm 미만일 때 조기에 발견하려면 첨단 기능을 갖춘 영상기기를 이용해 검사하는 것이 좋다.

조기 발견이 힘든 것으로 알려진 폐암은 저선량 CT를 이용하면 기존 X선 촬영보다 7배 이상 조기 발견율이 높아진다. 저선량 CT는 기존 CT의 방사선량을 10분의 1 정도로 줄인 것으로 3mm 이상의 폐암 조직을 발견할 수 있다. 비용도 10만 원 내외로 저렴한 편이다. 저선량 CT는 폐암의 고위험군인 45세 이상의 흡연자라면 1년마다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양전자단층촬영(PET)은 특정 세포를 찾았을 때 색깔이나 빛을 발산하는 영상표지자를 환자의 피 속에 넣고 촬영하는 방식이다. 암이 있는 부위를 발견하면 영상으로 표시되며 0.1mm 크기의 작은 종양도 발견할 수 있다.

‘암 추적 레이더망’으로 불리는 PET-CT도 암 조기 발견에 이용된다. PET-CT는 기존 PET가 CT나 MRI에 비해 암이 있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으나 그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었던 점을 보완한 것이다. 폐암 식도암 유방암 갑상샘암 자궁암 뇌종양 등의 조기 진단, 주변 장기 전이, 재발 여부 등을 비교적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비용은 100만 원 정도로 비싼 편이다. 다만 PET-CT는 움직임이 많은 위장, 대장, 신장 검사에는 적당하지 않다.

○ 전립샘 암, 혈액검사로 진단

암이 증식하면 암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혈액 속으로 흘러들어간다. 암이 있으면 이 물질이 혈액 속에 많이 나타나므로 혈액검사에서 그 수치가 높아진다. 몸 안에 암이 있을 확률이 그만큼 높은 것이다. 이처럼 암의 존재를 알려 줄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암(종양) 표지자’라고 한다. 현재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전립샘암 간암 췌장암 폐암 위암 등에서 혈액검사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암 진단에 사용되는 혈액검사 중에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은 것은 전립샘암 검사(PSA)가 유일하다. 다른 암 표지자는 암뿐만 아니라 염증, 단순 혹 등이 있을 때도 증가할 수 있다.

혈액 한 방울로 모든 암을 발견할 수 있는 것처럼 오해하는 환자들도 있다. 그러나 혈액검사는 실제 대단위 임상 환자 대상 연구 결과에서는 효과를 증명하지 못한 경우가 많으므로 과신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도움말=박연희 혈액종양내과, 김병태 핵의학과, 김종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이진한 기자·의사 likeday@donga.com  동아건강 2008-01-21

 

 

<2>초기암 최신 치료법

 

암이 조기 발견되면 수술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암 부위를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 재발률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암 부위뿐만 아니라 림프절까지 많은 부위를 도려냈다. 가령 초기 유방암 환자도 한쪽 유방 전체를 절제했다. 최근에는 암 환자의 치료뿐만 아니라 완치 뒤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수술의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가장 작게 절제하거나 아예 내시경을 이용해 흉터 없이 암 부위를 조기에 제거하기도 한다.

○ 2cm 이하 종양은 내시경으로 제거

초기 위암, 대장암, 직장암은 내시경만으로 암을 제거한다.

위암은 아주 초기일 때 내시경을 사용한다. 종양이 위 표면에 있으며 튀어나온 모양의 크기가 2cm 이하로 주위에 암세포가 전이돼 있을 가능성이 작을 때 내시경을 사용한다. 이런 사례는 전체 위암의 5% 정도다. 내시경 시술을 하다가도 암 세포가 따른 곳에 전이된 경우면 바로 수술을 해야 된다. 위암의 내시경 치료에도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출혈 가능성이 5∼15%로 가장 크며 위가 뚫리는 경우는 0.5∼2.5%다.

초기 대장암, 직장암도 위암과 마찬가지로 해당 암이 뿌리를 내리지 않고 표면에만 조금 생겼을 때 내시경으로 제거한다. 특히 항문에서 15cm 아래에 있는 직장암은 항문을 통해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정확히 도려내는 내시경미세절제술이 가능하다.

○ 초기 간암 고주파 치료 땐 시술 다음 날 퇴원 가능

고주파, 초음파를 이용하여 암을 태워 없애는 치료법도 초기 암에 사용된다. 초기 간암의 경우 고주파 열치료법이 효과적이다. 고주파 열치료법은 초음파를 보면서 갈고리 모양으로 생긴 여러 개의 전극이 부착된 바늘을 간에 삽입해 고주파로 고열을 발생시켜 암세포를 없앤다. 신장암, 골종양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국소마취를 해서 환자는 거의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초기 간암의 경우 1회 치료만으로 3cm 이내의 간세포 암을 완전하게 태울 수 있어 환자는 시술 다음 날 퇴원이 가능하다. 치료 성공률은 96.3%이며 재발률은 11.7%다. 5년 생존율은 58.5% 정도다. 전이된 간암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종양이 큰 혈관에 붙어 있거나 크기가 5cm 이상일 때에는 치료 효과가 떨어져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초기 전립샘암에는 고주파 대신 초음파를 이용해 암을 태우는 고밀도 초음파 집속술이 사용된다. 초음파를 이용하면 주변 조직의 손상이 적고 열에 의해 정밀하게 특정 부위의 세포를 파괴시킬 수 있다. 노령이나 다른 질환 등의 원인으로 전립샘암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게 적당하다.

○ 개복 수술 대신 복강경 수술로도

복강경을 이용해 수술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위암, 대장암, 전립샘암 등에서 종종 쓰인다. 복강경 수술은 기존의 개복 수술처럼 배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몇 개의 구멍을 통해 배 속으로 복강경 카메라와 수술기구를 넣어 위를 절제한다.

개복 수술과 복강경 수술의 성공률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수술 부위가 작아 합병증이 적고 수술 후 회복 기간도 짧다. 그러나 수술기구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수술 시 추가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대장암은 개복 수술에서 복강경 수술로 점차 바뀌고 있다. 복강경 수술은 개복 수술과 비교하여 국소 재발률 및 생존율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이 입증됐다.

○ 손 닿기 힘든 부분은 3차원 영상 보며 로봇 팔로

2000년대 초반부터 로봇을 이용한 암 수술이 시작됐다. 전립샘암, 위암, 대장암, 폐암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립샘암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로봇 수술은 3차원 입체영상을 통해 의사가 원격으로 수술하는 장비로 이뤄진다.

복강경 수술은 2차원 영상을 사용하는 반면 로봇 수술은 3차원 영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수술이 가능하다. 복강경 수술에서는 할 수 없었던 동작이 가능하고 사람의 손이 닿기 힘든 곳도 수술할 수 있다.

국내에 도입된 ‘다빈치 로봇’은 수술에 사용되는 로봇 팔이 소모품이어서 10회 사용 후 교체해야 한다. 이때마다 300만∼400만 원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1회 수술비용이 700만∼1500만 원으로 비싼 편이다.

(도움말=전호경 김성 남석진 외과 교수, 임효근 영상의학과 교수, 전성수 비뇨기과 교수)

이진한 기자·의사 likeday@donga.com  2008-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