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유하는 삶

행복의 조건

행복의 조건

하버드생과 빈민가의 청년, 그리고 그들의 자손까지 85년간 2000여명의 삶을 추적한 결과는 “인간관계에 만족하면 신체도 건강하다.” 입니다.

미국 하버드대 재학생과 보스턴 빈민가 청년들 중 누가 더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게 될까요? 1938년에 이 질문을 던졌던 하버드대 연구팀은 이후 현재까지 85년 동안 이들의 삶을 추적한 끝에 답을 얻었습니다.

“우리의 방대한 과학적 연구의 메시지는 의외로 간단했습니다. 인생에 있어 오직 중요한 한 가지는 ‘사람들과의 따뜻하고 의지할 수 있는 ”인간관계“’라는 점입니다.”

로버트 월딩어 하버드대 의대 교수는 최근 동아일보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행복을 정하는 결정적 요인은 부도, 명예도, 학벌도 아니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노년은 사람들과의 ‘질적인’ 관계에 달려 있습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하버드대 의대 부속병원인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정신과 의사이기도 한 월딩어 교수는 미국 역사상 인간의 삶에 대한 최장기 연구 프로젝트인 ‘하버드대 성인발달 연구’의 4번째 책임자입니다.

월딩어 교수는 “놀라운 것은 ‘의지할 만한 관계’가 행복뿐만 아니라 신체적 건강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사실입니다. 50대일 때 인간관계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았던 사람들이 80대에 가장 건강한 사람들이었습니다.”고 강조했습니다. 적극성 등 성격적 기질도 30대 땐 성공에 영향을 미쳤지만 노년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습니다.

월딩어 교수는 “외로움과 고립은 술과 담배만큼 건강에 해롭습니다. 원치 않는 고립에 빠진 이들은 중년에 신체 건강이 급격히 나빠지고 뇌 기능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그는 한국이 교육열이 강하고, 성취욕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그러나 교육 수준이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이 아니었다고 말합니다.

"자녀에게 의사가 되라는 식으로 무엇이 되라고 강요해선 안 된다.”고 조언합니다.

85년 동안 축적된 연구 데이터가 하버드대를 나왔다고 해서 더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하다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아동기 가족과의 관계는 80대까지 생애 전반의 행복에 영향을 준다.”고 강조합니다.

“한국인은 서울대, 하버드대를 꿈꾸지만… 행복과는 관련 없다."고 강조합니다.

살 곳, 먹을 것, 의료 서비스가 있다면 그 이상 돈 많다고 행복해는 것은 아니고 가족, 친구에 돈과 시간을 쓰는게 최고의 투자라고 말합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삶의 요인을 수십 년째 연구하고 있는 로버트 월딩어 하버드대 의대 교수는

“인생에서 중요한 단 한 가지는 ‘따뜻하고 의지할 수 있는 인간관계’”라고 결론지었습니다. 월딩어 교수는 85년째 이어진 ‘하버드대 성인발달연구’의 네 번째 책임자입니다.

2023년 새해는 불확실성의 안개가 짙게 드리워져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끝이 없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우려까지… 불안감과 우울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누구보다 열심히 산다고 자부해 온 한국인은 물질적인 풍요 속에서왜 행복에서 멀어지고, 미래를 비관하게 되었을까요?

기자는 ‘하버드대 졸업생이 저소득 가정 출신보다 더 행복한 삶을 살았을 것 같다.’고 여러 차례 물었지만 월딩어 교수의 답은 “아니요”였습니다. 학벌은 행복과 관련이 없었습니다. 그는 동아일보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연구 결과 하버드대를 나왔다고 해서 이들이 더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명확합니다. 돈과 명예도 인생의 종착점인 노년의 행복을 보장해주지 못했습니다. 행복의 열쇠는 사람들과의 따뜻한 ”관계“임이 과학적으로 여러 차례 증명됐습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월딩어 교수는 한국인들에게 건네고 싶은 조언을 묻자

“새해에는 무엇보다 가족과 친구들에게 시간과 에너지를 쓰십시오. 그것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최고의 투자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인간관계가 신체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흥미롭습니다. 따뜻하고 건강한 관계란 어떤 것일까요?

“자신을 숨길 필요 없이 ‘나 자신으로 있을 수 있다’고 느끼는 관계입니다. 또 상대방에게 ‘너는 이런 사람이 돼야 한다’고 강요하지 말아야 합니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자녀에게 의사, 변호사 등이 되라고 강요하는 것은 아이를 행복하게 만드는 길이 아닙니다. 연구 결과 아동기 가족과의 관계는 70, 80대 행복에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부와 명예를 얻고 성공하기 위해 지금도 애쓰고 있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최소한 살 곳이 있고, 먹을 것이 있고, 의료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은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그 이상부터는 돈이 많다고 행복해지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는 우리 대한민국 국민 대부분이 현재 "행복의 조건"을 이미 갖추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