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한국당+문국현…이대로 문드러지나 | |||
핵심인사 이탈 조짐 보이며 총선체제 '흔들' | |||
文의 정치실험… '부도위기' 직면한 사연 대선 이후 불거진 당내 갈등…핵심 인사 이탈 조짐 보이며 총선체제 '흔들' 성공한 CEO의 길을 걸어 온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에게 '정치'는 진정 넘기 힘든 벽이었을까. 대선 이후 문국현의 리더십이 당 안팎에서 도마 위에 오른데 이어 핵심인사들의 탈당 움직임까지 보이는 등 총선을 코앞에 두고 당이 존폐위기까지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사람이 희망'이던 문 대표 주위의 사람들이 하나 둘씩 짐을 싸려는 조짐도 보인다. 창조한국당이 심각한 인적·재정적 위기에 직면하면서 당이 존폐의 기로에 서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특히 당 내부에서 대선이 끝난 이후에도 문국현 대표를 중심으로 한 '사당화(私黨化)'에 대한 우려와 비판이 계속적으로 제기되면서 구성원들간 갈등 양상을 빚는 등 총선체제 정비도 못하고 어수선한 분위기다. 특히 대선정국을 지나오며 문국현 대표의 '입'이 되어 주었던 김갑수 창조한국당 대변인이 이 달 중순 대변인직을 사퇴한 후 탈당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져 당의 혼란스러운 당의 분위기를 짐작케 해준다. 대선 당시 창조한국당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그는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그동안 매일 좌절했고, 인간에 대한 신뢰가 사라졌다"고 밝히기도 했다. 당 관계자에 따르면 김 대변인은 정범구, 김영춘 최고위원 등과 한 목소리를 내며 통합신당 등 범여권과 연대 없이 총선을 맞으면 참패할 것이라며 적극적 연대를 주장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문국현 대표가 자신의 측근인 전재경 최고위원의 '독자노선'주장에 편승해 연대에 부정적 입장을 계속 고수해오면서 문 대표와도 심각한 갈등을 빚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김 대변인을 제외하고도 창조한국당 내 핵심인사 중 다수가 문 대표와 '엇박자 행보'를 보이고 있어, 추가 이탈 움직임도 예견되고 있다. 정범구 최고위원도 최근 모 라디오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창조한국당은 대선 전 문국현 후보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정치세력, 즉 '문국현 팬클럽'성격이 강했다"며 "현재 사당(私黨)이 아닌 공당(公堂)으로 가기 위한 여러 가지 내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대선 이후에도 문국현 대표의 골수 지지자들과 측근 인사를 중심으로 한 당 운영에 대한 비판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정 최고위원은 얼마 전 본지 기자와의 인터뷰를 통해서도 "문 대표와 동업자의 심정으로 함께 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창조한국당의 모습은 문 대표와 측근을 중심으로 고집스러운 운영방식에 갈등을 빚고 있어 정 최고위원이 바라는 동업자로서의 관계는 사실상 끝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창조한국당의 이 같은 내홍은 대선 직후부터 불거지기 시작했다. 특히 막대한 대선자금이 사용된 것을 두고, 유용 의혹이 불거지면서 문 대표가 직접 지방까지 내려가 실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당시 '당연한 절차다'라는 의견과 '구성원 신뢰 없이는 안 된다'는 의견이 맞물리며 갈등이 촉발됐고, 결국 별다른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한 채 마무리되자, 문 대표 측근에 대한 징계까지 거론되는 등 당 안팎으로 볼썽사나운 모습이 연출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당 일부 핵심인사 등이 한동안 당사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며, 반발 움직임을 보였으나, 이달 초 총선을 앞두고 갈등이 봉합되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한 번 무너진 신뢰는 쉽게 회복되지 않았던 모양이다. 대선자금 유용 의혹이 마무리되자 총선을 준비하는 전략을 두고 또 다시 당 지도부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문 대표를 포함한 측근 일부 인사들은 총선과정에서 다른 정당과 섞인다면 창조한국당의 가치가 훼손된다며 독자노선을 고수하려는 자세를 고집하고 있지만, 당내 다수 인사들이 총선에서만큼은 반한나라당 전선을 구축해 소위 '이명박 쓰나미'를 막아내야 한다는 주장을 계속적으로 피력하고 있다. 그러면서 문 대표를 설득하고 있지만, 문 후보를 둘러싼 여러 가지 분위기를 감안할 때 선뜻 변화된 입장을 내놓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총선을 앞두고 선거자금 문제가 또 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문 대표 측이 지난 대선자금 100억여원 가운데 44억원을 문 대표에게서 차입한 것으로 처리한 데 따른 당내 반발이 만만치 않게 일고 있다. 당의 한 관계자도 "기업경영까지 해본 분이 당에 40억원 넘는 부채를 안기고 총선을 치른다니 무슨 영문인지 모르겠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창조한국당 내홍이 총선 전략을 놓고 본격 분출하는 양상인 가운데, 정범구, 김영춘 최고위원 등은 당 밖으로 외도하며 제3지대 정치세력화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어 더 큰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존경하는 기업인이자 화려한 CEO 경력을 가지고 정치계에 데뷔한 문국현의 정치실험이 부도위기를 맞으면서 정계 진입 이후 최대의 위기에 놓여져 있는 상황이다. 이광표 기자 pyoyoyo@naver.com | |||
2008/01/25 [17:25] ⓒ브레이크뉴스 |
'정치 무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의 이름으로 … 정치인 2세들 4·9총선 출사표 [중앙일보] (0) | 2008.01.30 |
---|---|
문국현은 총선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0) | 2008.01.26 |
정범구 "문국현 대표 총선전면에 나서야" (0) | 2008.01.21 |
'문국현 효과'와 2012 대선 (0) | 2008.01.20 |
" 문국현 죽어야 산다" (0) | 2008.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