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6 13:00
KAIST 연구팀...단백질 네트워크 분석 기술 이용해 핵심요인 찾아...치료제 개발중
피부세포의 노화를 억제하고 다시 젊은 세포로 돌릴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픽사베이 제공
한국 과학자들이 늙은 피부 세포 일부를 젊은 세포로 되돌리는 ‘회춘’ 기술 개발했다. 세포의 노화를 늦추고 노인성 질환을 억제할 치료제와 화장품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바이오뇌공학과 조광현 교수와 안수균 연구원,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사람의 노화된 피부 세포 일부를 젊은 세포로 되돌리는 역노화 기술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로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노화는 생명체가 시간이 흐르며 생존과 생식력에 필요한 생리적 기능이 떨어지는 자연스러운 생명 현상이다. DNA 손상이 누적되거나 암 유발 유전자가 활성화되는 등 이유로 세포가 증식을 멈춰가는 ‘세포노화’가 누적돼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암과 같은 노인성 질환에 걸리고 신체 기능이 떨어지며 사망률도 올라간다.
최근 들어 과학자들은 노화를 거스르고 신체를 젊게 되돌리도록 세포가 증식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세포 역노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세포 노화를 되돌리는 전략으로 ‘역분화’ 기술이 가장 널리 연구되고 있다. 역분화는 피부세포처럼 특정신체 조직으로 자란 세포에 ‘야마나카 전사인자’라는 단백질 4종을 추가해 특정세포로 분화하기 이전의 젊은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이다. 실제로 늙은 세포를 젊은 세포로 되돌릴 수 있지만, 효율이 낮고 엉뚱하게 암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나타나 아직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조 교수팀은 3개 층으로 이뤄진 인체 피부 가운데 가장 두꺼운 ‘진피’ 윗부분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 속 단백질 수십 종에 주목했다. 섬유아세포는 마치 건물의 시멘트처럼 세포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고 세포 사이를 연결해주는 콜라겐 등 물질(세포외기질)을 생산하는 세포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섬유아세포 속 단백질들이 신호를 서로 주고 받으며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모델로 만들었다.
연구팀은 다시 이 모델을 토대로 ‘PDK1’이란 단백질이 피부 세포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PDK1’는 단백질 합성과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엠토르(mTOR)단백질과 면역 유발 물질인 사이토카인 생성에 관여하는 단백질(NF-kB)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연구팀은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와 이를 이용해 만든 입체 인공피부를 이용해 PDK1 유전자를 억제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노화된 피부 조직에서 감소했던 콜라겐의 합성이 늘어나고 재생 능력이 회복돼 젊은 피부조직의 특성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의 세포 노화 신호전달 네트워크 모델의 시뮬레이션 분석 모식도다. 이렇게 복잡한 단백질의 관계를 분석해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선별했다. KAIST 제공
조 교수는 “그 동안 노화는 거스를 수 없는 현상이라고 여겨졌지만 이번 연구로 노화 역시 되돌릴 수 있는 생명현상일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건강 수명을 연장하고 노인성 질환을 예방하는 치료기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이 기술을 응용해 동백추출물에서 PDK1 억제 성분을 추출해 노화된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 화장품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이달 18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발표됐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말 (침방울 ) (0) | 2020.12.12 |
---|---|
제일병원 이명우 원장 건강 조언 (0) | 2020.12.12 |
차내 코로나19 전파 막으려면 어떤 창문 열어야할까 (0) | 2020.12.08 |
코로나 면역력 높이는 법에 대한 전남대교수의글 (0) | 2020.12.06 |
4가지 생존법칙 (0) | 2020.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