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
1) 1916 - 영국의 분자생물학자 크릭(Crick, Francis H. C.) 출생
크릭 [Crick, Francis (Harry Compton), 1916.6.8~2004.7.28]
런던대학교를 졸업한 후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하였다. 1949년부터 캐번디시연구소에서 X선을 사용, 나선상단백질 분자구조를 연구하던 중 미국의 생물학자 웟슨과 킹스 칼리지의 윌킨스의 협력을 얻어 1953년 DNA의 2중나선
구조를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확인됨으로써, 1962년 웟슨, 윌킨스와 함께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그는 이 밖에도 대장균의 인공돌연변이에 의한 DNA의 뉴클레오티드 배열 순서의 변화를 해석하고,
유전정보의 단위가 3개로 조합되어 있음을 예언하였다. 또, 콜라겐 단백질의 구조,
DNA에서 단백질 합성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에서도 큰 업적을 올렸다.
2) 1876 - 프랑스의 여류소설가 상드(Sand, George) 사망
상드 [Sand, George, 1804.7.1~1876.6.8]
본명 오로르 뒤팽(Aurore Dupin). 파리 출생. 4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중부 프랑스의 베리주(州) 노앙에서 할머니 손에서 자랐다. 16세 때 지방의 귀족인 뒤드방 남작과 결혼하였으나 행복한 결혼생활은 오래 유지되지 못하고 두 아이를 데리고 집을 나와 파리로 옮겼다(1831). 그 후 친구의 권유로 신문소설 《앵디아나 Indiana》(1832)를 써서 일약 유명해지면서부터 남장차림의 여인으로 문인들 사이에 끼어 문필활동을 계속하였다. 그녀의 분방한 생활은 남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특히 시인 뮈세와 음악가 쇼팽과의 모성적인 연애사건은 너무나도 유명하다. 상드의 창작 활동은 크게 4기(期)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1기에는 체험을 바탕으로 한 처녀작 《앵디아나》나 《렐리아 Lelia》(1833)와 같은 루소풍(風)의 연애소설을 썼고, 제2기에는 《콩쉬엘로 Consuelo》(1842)를 대표작으로 하는 일련의 인도주의적 사회소설을 썼다.
제3기는 어린 시절에 살던 추억 많은 노앙에 머물면서, 이 지방의 아름다운 자연을 배경으로 소박하고 선량한 농민의 생활을 그린 전원소설의 시기로서 《마(魔)의 늪 La Mare au Diable》(1846) 《기아(棄兒) 프랑수아 Fran ois le Champi》(1848) 《사랑의 요정 La Petite Fadette》(1849) 《피리 부는 사람들의 무리 Les Maitres Sonneurs》(1853) 등의걸작을 발표하였다. 제4기는 만년임에도 불구하고 조금도 필력에 쇠퇴함이 없이 회상록 《내 생애의 역사 Histoire de Ma Vie》(1854∼1855)를 쓴 뒤, 원숙한 필치로 파리 상류사회의 연애를 다룬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녀의 일생은 모성애와 우애와 연애로 일관된 분망한 생애로서 그야말로 낭만파의 대표적 작가다운 모습을 보여 주었다. 한편, 선각적(先覺的)인 여성해방운동의 투사로서도 재평가되고 있다.
1) 2) 3)
1) 1903 - 벨기에 태생 미국의 소설가 유르스나르(Yourcenar, Marguerite) 출생
유르스나르 [Yourcenar, Marguerite, 1903.6.8~1987.12.17]
본명 마거리트 드 크레이엥쿠르(Marguerite de Crayencour). 벨기에 출생. 프랑스어로 작품활동을 하였다. 일찍 어머니를 여의고 어린 시절을 아버지와 함께 유럽 및 중동의 각지를 전전하며 보내다가, 제2차 세계대전 때부터 미국에 정주하였다. 처녀작 《알렉시스 또는 헛된 전투 Alexis ou le Traite du vain combat》(1929)에 이어 《최후의 일격 Le Coup de Grace》(1939),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회상 Memoires d’Hadrien》(1951)으로 일약 문명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가치체계가 붕괴되는 격동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역사소설의 체제 속에 인간의 전체성을 파헤친 것으로 《흑(黑)의 과정 L’œuvre au Noir》(1968, 페미나상 수상)이 그 하나이다. 회상록 《Souvenirs pieux》(1974), 《Archives du Nord》(1977) 외에 H.제임스와 A.V.울프의 작품들을 프랑스어로 번역하기도 하였다. 여성작가 최초로 아카데미프랑세즈 회원(1980)이 되었다. /naver
2) 1625 - 이탈리아 출생의 프랑스 천문학자 카시니(Cassini, Jean Dominique) 출생
카시니 [Cassini, Jean Dominique, 1625.6.8~1712.9.14]
니스 출생. 제노바에서 성직자가 되기 위해 공부하던 중에 G.갈릴레이의 제자인 카발리엘리(1598~1647)에게서 천문학을 배우고, 1650년 볼로냐대학의 천문학 교수가 되었다. 1665년 목성으로부터 대적점의 변화를 관찰, 목성의 자전주기(自轉周期)가
9시간 56분임을 밝혔고, 1666년 비슷한 방법으로 화성의 자전주기가 24시간 40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갈릴레이가 발견한 목성의
4개 위성(衛星)에 대한 운행표를 계산했는데, 이것은 해상에서의 경도(經度) 결정에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이러한 업적에 의해 1669년 프랑스 국왕의 초청으로 파리 과학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1671년 파리천문대 초대 대장으로 취임했다. 1673년 프랑스에 귀화하여, 이후 4대(代)가 이곳에서 천문학 개척에 헌신하였다. 1671∼1684년 토성(土星) 근처에서 4위성을 발견했고, 1672년 화성(火星) 접근시에는 J.리셰르와 함께 기아나의 카이엔과 파리 사이에서 화성의 지심시차(地心視差)를 측정하여,
이 값을 바탕으로 1천문단위의 거리를 1억 4000만 km로 정하였다.
현재의 값에 비해 15분의 1의 오차 범위 내에 드는 정밀한 것이었다.
1675년에는 토성의 고리에서 이른바 카시니간극(間隙)을 발견하였다. 또한 황도광(黃道光)을 최초로 관측하였고, 달의 자전축이
황도면에 수직이 아니라는 사실에서 달의 칭동(秤動)을 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행성의 공전궤도에 대해 케플러의 타원에 대응하는 카시니의 난형(卵形)을 주장하였다. 저서 《천문학 논문집》(1666) 《천문변량(天文變量)의 요소》(1693) 등이 있다.
3) 632 -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Muhammad/Mahomet) 사망
무함마드(마호메트) [Mahomet/Muhammad, 570?.4.22~632.6.8]
이슬람교의 창시자 마호메트가 632년 6월 8일 메디나에서 사망했다. 부친이 일찍 죽어 조부와 숙부 밑에서 자랐다.
청년시절 대상을 따라 시리아 등지를 왕래하며 만난 유력한 상인의 미망인인 하디자와 결혼, 3남 4녀를 낳았다.
40세가 되던 610년 경, 세속적인 생활을 중단하고 메카 교외의 히라산에 있는 한 동굴에서 명상생활을 시작했다. 이때 처음으로
천사 가브리엘을 통해 알라신의 계시를 받았다. 그 내용은 `코란` 제9장에 기록되어 있다. 이후에도 계속 알라의 계시를 받게 되자
그는 새로운 종교를 창시할 것을 결심, 부인 하디자를 최초의 신도로 받아들였다. 신도는 점차 증가했으나, 이제까지의 다신교를
부정하고 유일신 알라 앞에서 인간은 평등하다는 그의 주장이 당시 메카 지배층의 이익과 배치되어
613년경부터는 집권세력으로부터 견제와 박해를 받기 시작했다.
615년에는 신도 일부가 박해를 피해 아비시니아로 피신, 그곳에서 그리스도교도에게 환영을 받았으나 마호메트 자신은 전부터
정해 둔 메디나로의 이주를 준비했다. 마침내 622년 9월 24일 신도 70여명과 함께 메카를 탈출, 메디나로 이주했다.
이를 헤지라(聖遷)라고 하며 이 해가 이슬람력의 기원이 된다.
당시 메디나의 내분을 틈타 마호메트는 정치적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발휘해 사태를 수습하고, 메카에 대항할 수 있는
군대를 양성했다. 메카세력과의 오랜 전쟁 끝에 마침내 630년 10월 메카를 점령한 마호메트는 이후 아라비아 반도 전역의
각 부족을 속속 이슬람교로 개종해 교단을 완성해 나갔다. 그 후 건강이 갈수록 악화되어,
632년 6월 8일 애처 아이샤가 지켜보는 가운데 사망했다. - 조선
1921 - 인도네시아의 대통령 수하르토(Suharto) 출생
수하르토 [Suharto(Soeharto), 1921.6.8~2008.1.27]
중부 자바의 욕야카르타에서 태어났다. 하급 중학교 및 이슬람 학교를 마친 후에 인도네시아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1943년 일본군 보호 아래 인도네시아 육군장교가 되어, 1945∼1950년 욕야카르타에서 대대장·연대장을 지내고,
1953년 중부 자바의 연대장, 1960년 준장으로 진급, 1960~1965년 육군참모차장을 지냈다. 1965년 9월 30일 쿠데타 때
당시 국방장관 나수리온과 협력하여 반란군을 격파하고 육군사령관이 되어 치안회복을 실현하였다.
1966년 3월 대통령 수카르노에게서 치안 대권을 위양받고, 7월에는 총리·국방치안장관·육군장관·육군총사령관을 겸임하였으며, 1967∼1968년 대통령권한대행을 거쳐, 1968년 3월 국민협의회에서 제2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1973년 3월 대통령에 재선되었으며, 1978년 3월에는 3선(選)저지운동을 탄압하고 3선(選) 대통령이 되었다. 1979년 11월 학생들의 반정부운동이 일어나고, 1980년 4월 전국에서 반(反)중국인 폭동이 발생한 데 이어, 5월 퇴역장성과
정치가 50명이 대통령비판성명을 발표하는 등 한때 정정(政情)이 불안했다. 하지만 1982년 5월의 총선에서도 수하르토를 정점으로 하는 골카르(Golkar) 조직이 압승함으로써 4선 대통령이 되었다.
그 뒤에도 두 번의 재선을 했지만 1998년 대규모 반정부시위로 몰락하고 말았다.
외교면에서 수하르토 정권은 수카르노 시대의 반제국주의 ·비동맹노선에서 180도 선회하여 미국 등
서방 여러 나라와 밀착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를 ‘신체제’라고 일컫는다.
1867 - 미국의 건축가 라이트(Wright, Frank Lloyd) 출생
라이트 [Wright, Frank Lloyd, 1867.6.8~1959.4.9]
미국 위스콘신주(州) 리치랜드센터에서 태어났다. 15세 때 아버지가 행방불명되어 위스콘신대학교를 고학으로 졸업하였다.
1887년 근대건축의 선구자 L.H.설리번의 설계사무소에서 일하였다. 1893년에 윈슬로 저택을 비롯한 주택건축을 중심으로
자신의 설계활동을 시작하였다.
그의 유기적 건축 이론에 의한 '프레리하우스(초원주택)' 시리즈의 걸작을 다수 만들어냈다. 하트레이 저택(1902), 마틴 저택(1904), 쿤레이 저택(1908), 로비 저택(1909) 등의 잇단 건축은 탤리에신에서 최초로 지은 자택(1911년 이후)에까지 이어진다.
동양건축에 자극을 받으면서 여러 방면으로 뻗는 플랜, 공간적인 유동성, 대지의 수평선에 동화한 듯한 외형 등을 훌륭하게 통일하여 독창적인 세계를 구축하였다. 주택 이외에도 라킨사(社) 빌딩(1904), 유니테리언교회(1906) 등이 있으며, 라이트의 작품집이 1910년 베를린에서 출판되자, 유럽 건축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그 후부터 1930년대 초까지는 불우한 시대였다. 첫번째 아내의 행방불명, 그리고 1914년 탤리에신에서 하인의 방화살인사건으로 인한 체니 부인과 두 아들의 죽음 등 불행이 잇따랐다. 이 시기의 작품에는 마야풍의 첫 작품인 시카고의 미드웨이 가든(1914), 일본 도쿄[東京]의 데이코쿠[帝國] 호텔(1922), 미라드 저택(1923) 등이 있으나,
1920년대 말에 닥친 세계적인 경제공황의 여파로 그의 활동도 부진하였다.
1936년 '폴링워터(Falling water:낙수장)'라고 명명된 카프만 저택, 1939년 존슨 왁스 본사 등 두 가지 훌륭한 건축으로,
당시 세계적으로 파급되어 있던 국제건축 양식을 소화하면서 기적적으로 부활하여, 제2차 황금기를 맞이하였다.
즉 1938년부터의 탤리에신 웨스트 건설, 하나 저택(1937)에서 시작한 30∼60° 각도의 평면구성을 지닌 건축을 전개해 나갔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제2제이콥스 저택(1948), D.라이트 저택(1952), 프라이스 타워(1956), 베스 쇼롬 유대교회(1955) 등의 작품이 있고, 뉴욕의 구겐하임미술관(1959)을 완성하기 직전 애리조나주(州) 피닉스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광활한 미국의 풍토를 배경으로 고도의 기술문명을 구사하면서
그 토양과 조화되는 유기적인 건축설계를 전개시켜나감으로써 20세기의 위대한 건축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1845 - 미국의 제7대 대통령 잭슨(Jackson, Andrew) 사망
잭슨 [Jackson, Andrew, 1767.3.15~1845.6.8]
전쟁영웅으로 칭송받아 온 앤드류 잭슨 대통령이 1845년 6월 8일 사망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왁스호에서 출생해 변호사
생활을 거쳐 1798년 테네시주 최고재판소 판사로 활동했다. 1824년의 대통령 선거에서 J.애덤스에게 패하여 낙선했으나,
1828년 재도전해 당선됐다.
서부 출신 최초의 대통령으로 재임 중 구습을 타파하는 청신한 정책을 취해 서부의 농민, 동부와 북부의 노동자, 남부의 농업경영자 등으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얻어 1832년 재선됐다. 그는 직선적이고 야성적인 성격의 소유자로 관세문제나 미합중국은행 재인가
문제 등에서는 강경한 태도를 취했지만, 여론을 중시하는 대중 중심의 정치를 펴 인기가 높았다.
또한 선거권의 확대, 대통령 선거제도의 개선, 전국당대회제의 채택, 교육의 보급 등으로 일반 대중의 정치참여 기회를 증대시킨
대통령으로 평가받았다. 그가 확립한 새로운 개념의 민주주의는 `잭슨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20세기 초반까지
국민들에게 영향력을 미쳤다. -조선
1829 - 영국의 화가 밀레이(Millais, John Everett) 출생
밀레이 [Millais, John Everett, 1829.6.8~1896.8.13]
노르망가계(家系) 출신. 조숙하여 11세 때 왕립미술학원에 입학하고 재학 중 많은 아카데미상을 획득했다.
1848년 친구 로세티, 헌트 등과 라파엘 전파(前派)를 형성하여, 라파엘로 이후의 대가(大家) 양식의 모방에서 탈피,
회화예술에 자연주의와 정신적 내용의 부활을 주장하였다.
이 시기의 주요작품에는 《목수작업장의 그리스도》(1850) 《오필리아》(1852) 《눈먼 소녀》(1856) 등이 있다.
그러나 정밀한 세부묘사와 화려한 색채에 의한 문학적 ·종교적 주제의 작품은 통속적 ·감상적 표현으로 기울었다.
후에 이 파를 떠나, 능란한 묘사력을 살려 초상화와 일반적 주제로 세상의 명성을 얻어 아카데미 회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1810 - 독일의 작곡가 슈만(Schumann, Robert) 출생
슈만 [Schumann, Robert, 1810.6.8~1856.7.29]
슈만은 독일의 낭만주의 작곡가이다. 문학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던 그는 문학적으로는 잔 파울 리히터, 음악적으로는
프란츠 슈베르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어머니의 뜻에 따라 법학을 배우기 시작했으나 대부분의 시간을 작곡과
피아노 즉흥 연주를 하는 데 보냈다. 20세에 당시 유명한 피아노 선생이자 훗날 슈만의 아내가 된 클라라의 아버지이기도 한
프리드리히 비크에게 정식으로 음악 훈련을 받기 시작했다. 24세 때 오른쪽 손가락 하나를 다침으로써
피아노 연주가로서의 꿈을 접고 작곡에 전념했고, 음악 비평가로서도 활동했다.
쇼팽이나 브람스의 음악을 소개하는 데도 힘썼다. <라인 교향곡> 등 여러 유명한 가곡과 교향곡을 작곡한 슈만은
1854년 정신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해 2년 후에 세상을 떠났다. -브리태니커
슈만 에러우표
슈만 사망 100주년을 맞아 1956년 7월 20일 동독에서 기념우표를 발행했는데, 어쩌다 슈베르트의 악보가
잘못 들어가 10월 8일 슈만 악보를 넣어 다시 발행하였습니다.
이 우표는 디자인 에러의 대표적인 사례로 알려져 있습니다. ^.@)
Some notable design errors
- Legends of the West, US 1993
- All China is Red, PRC 1968
- Pagsanjan Falls error, Philippines 1932
- Schubert/Schumann error, German Democratic Republic 1956
http://www.answers.com/topic/postage-stamp-design-error
"작곡을 하기 위해서는 아직 누구에게도 떠오르지 않은 멜로디 하나만 기억해 내면 된다. "
'오늘의 뉴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우표와 사건 06.09 (1) (0) | 2019.06.09 |
---|---|
영화배우 로버트 테일러 사망 (0) | 2019.06.08 |
오늘의 우표와 사건 6.8 (1) (0) | 2019.06.08 |
오늘의 우표와 사건 06. 07(1) (0) | 2019.06.07 |
오늘의 우표 사건 06.07 (2) (0) | 2019.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