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여행

남해의 아름다운 섬 지심도

안녕하십니까 ?  
지심도를 아껴주시고 사랑하시는  낚시꾼 그리고 관광객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섬 전체가 붉은 동백꽃으로 물드는 소박하고 수수한 아름다움을 지닌 섬 지심도...
청정해역의 아름다운 섬 지심도는 우리에게 숨겨져 있는 보물섬입니다
바다위에 자연생태가 그대로 보존된 이 섬의 분위기와 느낌을 홈페이지에서 퍼와서 이웃님들에게 소개해봅니다. 
 
 

지심도(只心島)는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에 속하는 면적 0.36㎢
(약 10만평)의 작은 섬으로 최고점은 97m..

남해안 섬들중 어느 곳보다 동백나무의 숫자나 수령 등이 압도적이어서, '동백섬'이란 이름이 여타 섬들보다 훨씬 잘 어울리는 섬이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섬의 생긴 모양이 마음 心자를 닮았다 하여 지심도(只心島)라 불리웠다는데, 섬 사람들은 남해안 일대에 산재한 여러 동백나무 군락지 가운데 숲이 조밀하기나 동백나무들의 수령이 많아 원시 동백림으로는 지심도가 둘째가라면 서러울 것이라 말한다.

실제 동백숲을 둘러보면 지심도 북쪽에는 어른 두 사람이 팔을 벌려야 겨우 껴안을 수 있는 백 여년이 훌쩍 넘어보이는 동백고목이 수그루 있는 등, 지심도 동백숲이 현재 국내에서 원시상태가 가장 잘 유지되어온 곳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심도 안에는 희귀종인 거제 풍란을 비롯해 후박나무, 소나무 등 총 37여종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는데, 그중 동백 이 무려 3분의2를 차지하고 있다.

배 위에서 바라본 지심도는 사방으로 둘러싸인 기암절벽 위에 한낮 햇살을 잔뜩 받은 동백 잎들이 반짝거려 마치 한덩이의 거대한 보석을 바라보고 있는 듯하다.

배에서 내려 숲으로 들어가면 한낮에도 어두컴컴하게 그늘진 동백숲 동굴로 이어진다.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피고 지는 동백꽃의 특성 때문에 숲길을 걸을 때마다 바닥에 촘촘히 떨어진 붉은 꽃을 일부러 피해가기도 힘들 정도로 동백꽃이 무성하다. 이처럼 가까이서는 화려하면서도 멀리서는 정갈한 동백숲 분위기에 이끌린 아베크족 단골 손님들이 사철 끊이지 않고 찾아든다.
개화기에는 선혈이 뚝뚝 듣는 듯한 붉은 홑동백꽃 구경을 하러, 한여름에는 내륙의 무더운 더위를 피해 짙은 동백숲 그늘로 멀리 서울서도 일부 러들 찾아든다.

동백숲길 동백림으로 온통 뒤덮인 지심도에는 팔색조(八色鳥)가 서식하고 있다고 알려졌으나 아직 아무도 본 사람은 없다. 10여년 전 모방송사에서 '팔색조'란 제목의 드라마를 이 곳에서 촬영 한 일도 있으며, 국내 조류학계의 권위있는 박사도 이곳을 100여차례 방문했으나 팔색조를 아직 목격하지는 못했다고 한다.
수년전에는 장승포 세관의 지심도 초소원들이 비번을 틈타 3개월 여에 걸친 잠복 끝에 팔색조의 울음소리를 녹음하는데 성공했다고 전해지지만, 팔색조의 것인지는 공인(公認)되지 않은 상태다.

지심도의 농가는 현재 해군시설물이 선 곳 서쪽 사면에 아홉 가구가 모여 있고 섬 중간에 한 가구, 그리고 섬 북쪽 모서리에 세 가구가 살고 있다. 오랜 일식집이긴 해도 다들 정성들여 가꾸어 한두 채 방치된 것 이외에는 한결같이 깔끔한 외양을 유지하고 있다.


지심도(只心島) 의 지명유래는 문헌상으로 지사도(知士島, 1469년
경상도속찬지리지)로 알려졌다가, 1760년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지삼도(只森島)로 적고 있다.
다른 문헌에는 지삼도(知森島), 지심도(只心島)로 표기되어 있다.
따라서 지삼도나 지심도는 한자마다 읽는 과정에서 바뀌었다고
보기엔 힘들고 섬의 자연적 변화에 따라 불렀다고 하겠다.
이전부터 지심도에는 각종 나무들이 울창하게 심어져 있었다고
해서 지삼도라 불렀고, 이후 섬이 마음 심(心)처럼 생겼다고
지심도라고 불렀다고 한다.
현재에는 주로 밭농사, 유자 재배 정도로 주민들이 생계를 유지
하고 있으며, 최근 갯바위 낚시꾼의 좋은 장소로 알려져 있다.


937년 중일전쟁 이후 지심도는 일본 해군 아까쯔끼부대 기지로
바뀌었다. 지심도는 일본 해군 기지화로 바뀌면서 군막사(軍幕舍)
발전소, 병원배급소, 포대 방공호 등 다양한 시설들을 만들었다.
현재 섬에는 포대 4곳, 방공호 3곳, 대포를 보관하던 곳도 있으며,
방향지시석도 남아 있다. 방향지시석은 대포를 쏘기 위한 장치로,
남쪽(해금강) 북쪽(부산 진해) 동쪽(대마도)으로 나누어져 있다.


지심도의 그 외 지명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동쪽 끝 벌여, 동섬
(떨어진 섬), 대패너를, 굴강여(굴이 있는데 뽈락이 잘 잡히는 곳),
높은 돌(바위 둥근 모양), 논밑, 굴밑(방공호 자리), 애물깨, 만여,
만여육지, 노랑바위, 솔랑끝(끝에 소나무가 자람), 무광밭밀, 짤라
광여, 새논개, 남쪽끝, 말뚝밑(일제 때 화물을 운반할 때 나무말뚝을 꽂다고 하며 도로래식이었다고 함), 새끝질미, 허만강여, 볼락자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