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3-07-03 23:57업데이트 2023-07-04 08:52
특히 이 중 175만 명은 DSR이 100%를 넘어 소득보다 갚아야 할 빚이 더 많은 처지다. 전체 대출자 10명 중 거의 1명꼴로 원리금을 갚고 나면 남는 돈이 아예 없어 사실상 부도 상태라는 뜻이다. 이 같은 한계 대출자는 팬데믹 이후 2년 6개월 동안 꾸준히 늘고 있어 우려를 더한다. 1800조 원을 넘어선 가계 빚에 대한 경고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취약 가구의 줄도산 위기가 높아지면서 하반기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한계 수위에 다다른 가계 빚은 이미 금융권에 연쇄 충격을 주고 있다. 발등의 불이 떨어진 곳은 한계 대출자가 몰려 있는 제2금융권이다.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 연체율은 6년 만에 5%를 넘어섰고, 취약계층이 급전을 빌리는 대부업체 연체율은 11%를 웃돌고 있다. 제2금융권 부실이 심화되면 제2의 카드 대란이나 저축은행 사태의 악몽이 재연될 수 있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프로, 황제주 대관식…석 달 만의 900스닥 [특징주] (0) | 2023.07.18 |
---|---|
퇴직 후 매달 198만원 꽂히면 중산층... 은퇴 귀족층은? [왕개미연구소] (0) | 2023.07.07 |
박정희가 만든 52살 개발제한구역, 100년을 내다본 정답은[황재성의 황금알] (3) | 2023.06.17 |
시총 2000억 날아간 아모레…"이재명이 초쳤다" 개미들 분통 (0) | 2023.06.12 |
‘침묵의 노후 암살자’ 인플레…20년전 3억이던 노년준비자금, 지금은 (2)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