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영재교육학원에 안내판이 보이고 있다. 전국 8개 과학고·영재학교 `2022학년도 입시`에는 789명 모집에 총 5109명이 지원했다. 다음달 11일 지필시험을 앞두고 학생들이 학원가에서 막바지 학습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충우 기자]"학원에서 개설하는 수업 프로모션(판촉 활동) 문자를 계속 보내와요. 영재 사고력 수학 특강이라든가 창의과학교실 등 수업 종류도 다양하고, 인기 있는 곳은 금세 마감되기 때문에 자주 확인하는 편입니다."
초등학교 6학년 자녀를 서울의 한 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에 보내고 있는 학부모 A씨.
A씨는 서울 강남 일대 학원가에서 이뤄지고 있는 상위 1% 영재 사교육 시장에 대해 "공교육에서 영재교육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기 때문에 자녀를 학원에 보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초등학교 방과 후에 수강하는 영재학급도 한두 번 과정을 밟으면 내용이 반복돼 결국 학원을 찾게 된다"며 "공교육에서 영재교육 대상자가 되기 위해 학원을 다니고, 대상자가 된 이후에도 수업이 만족스럽지 않아 다시 학원을 다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전했다.
국내 영재 육성 과정이 사교육으로 도배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가 주도하에 운영되고 있는 교육청·대학 부설 영재교육원과 초·중·고등학교 단위의 영재학급은 물론 정규 교육과정인 과학고·영재학교 역시 철저히 사교육의 도움을 받아야만 진학할 수 있는 사례가 일반화된 분위기다.
11일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은 총 8만2012명(2020년 기준)이다. 기관별로 일부 초·중·고 단위에서 선별적으로 방과 후(혹은 주말반)에 운영되는 영재학급이 40.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 뒤를 이어 지역 교육청이 운영하는 영재교육원(38.4%),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13.2%), 고등학교 정규 교육과정인 영재학교·과학고(8.4%) 순이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생이 전체 영재교육 대상자의 48.2%로 가장 많고, 중학생 31.6%, 고등학생 20.2%다.
연도별 추이로 보면 최근 몇 년 새 공교육 현장에서의 영재교육 '공급'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20년 전 2만명 안팎이던 영재교육 대상자 수는 해마다 줄며 2013년 12만명대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줄곧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초·중·고에서 영재학급 운영을 중단하는 학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2015년 6만1528명 규모였던 영재학급은 지난해 기준 3만2811명으로 반 토막 났다.
공교육에서 영재학급 운영을 꺼리는 데는 교사들의 업무 부담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교사가 영재교육에 참여해도 평소 업무는 줄어들지 않고, 영재교육 업무가 '플러스알파'로 더해지고 있는 탓이다. 교사들의 '사명감'만으로 영재학급을 운영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서울의 B초등학교는 작년까지 수년째 영재학급을 운영해오다 올해부터 영재교육을 그만뒀다. 담당 교사가 다른 학교로 전근을 간 것과 동시에 새로 영재교육을 총괄·담당할 교사의 지원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학교 교감은 "현재 영재학급은 학생 모집 단계부터 수업 커리큘럼까지 모두 학교가 도맡아 해야 하는 구조"라며 "교사 입장에선 본업과 동시에 영재학급도 맡을 경우 수업 준비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투여돼 선뜻 나서는 사람이 드물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맡고자 하는 교사가 없으면 단위학교에서 영재교육을 실시하기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교육 전문가들은 영재교육의 질적 성장을 이루려는 국가 차원의 노력이 부족하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정현철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장은 "국내 영재교육 시스템에선 학생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지에 대한 고민을 전적으로 교사에게 떠맡겨놓다 보니 현장 교사들도 답답하고, 학부모 만족도도 떨어지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그는 "시도별·학교별로 제공하는 영재교육의 질 차이가 발생해 소위 '서울 영재와 지방 영재 수준이 차이가 난다'는 얘기까지 나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교육 시스템 내에서의 영재교육에 만족하지 못한 학부모 수요는 자연히 사교육으로 집중되고 있는 분위기다. 심지어 학년 단위가 낮아질수록 초·중등학생 대상 영재교육에선 학원에서 선행학습을 많이 한 아이, 공부 잘하는 아이가 영재로 둔갑하는 기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자녀가 교육청·대학 등에서 지정하는 영재교육 대상자이거나 영재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부모들 사이에서 "돈이 없으면 영재도 키우기 힘들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영재학교 준비는 보통 초등 5·6학년 때 시작하는데, 4~5년 기간 한국수학올림피아드(KMO) 등 대회를 제외하고도 총 6000만~7000만원의 사교육비가 기본적으로 들어간다는 게 사교육을 경험한 영재학교 학부모들 얘기다. 여기에 학원에서 대회 특별대비반 등까지 챙겨 수강한다면 비용은 최대 1억원 안팎까지도 불어날 수 있다고 했다.
[고민서 기자 / 문광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