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화탕"(保和湯=중화탕=中和湯)이란 무엇인가?
옛날에 유명한 의학자이신 '구선자(九仙子)'라는 분이 계셨다. 하루는 나이 40정도의 환자가 찾아왔다. 증상이 이러했다.
"온몸에 기운이 다 빠져 나가고 일할 의욕이 없어지며 온몸이 갑갑하며 목이 꽉 막히는 것같고 가슴이 답답하고 기가 부대껴 헛배가 부르고 팔다리가 뒤틀리며 마비가 온다. 또 이렇게 몸과 마음이 괴로우니 입술을 깨물고 이를 악물고 눈을 부릅뜨며 고통을 참으려 해도 참을수 없어 주먹을 불끈 쥐고 빨갛게 달아오르며 귀까지 빨개진다. 그래서 온몸이 불같이 뜨거워집니다. 그래서 많은 의사들을 찾아다니며 무수한 약을 써 보았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그러자 구선자(九仙子)께서 처방을 하나 주시면서 말씀하셨다. "이 병은 세상의 어떤 의술로도 고치기 어렵습니다. 오직 이 처방만이 당신의 병을 치유할 수 있으니 잘 복용하면 윈기를 보전하고 굳건해져 병이 낫게 될 것입니다. 원기가 보전되고 굳건해지므로 나쁜 기운이 침범치 못하여 만병이 생기지 않고 걱정 근심없이 편안하게 오래도록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세상에 이런 명약이 있을까요? 구선자의 처방은 보화탕(保和湯=중화탕=中和湯)이란 것인데 30가지 재료로 되어 있다. 그 30가지의 약재료의 처방은 아래와 같다.
1, 사무사(思無邪): 나쁜 생각을 하지 말라.
2, 행호사(行好事): 착한 일을 행하라.
3, 막기심(莫其心): 속이는 마음을 갖지 말라.
4, 행방편(行方便): 사람을 좋은 길로 이끌라.
5, 수본분(守本分): 자기의 분수를 지켜라.
6, 막질투(莫嫉妬): 샘내거나 시기하지 말라.
7, 제교사(除狡詐): 간사하고 교활한 마음을 버리라.
8, 무성실(無誠實): 모든일에 성실하게 힘쓰라.
9, 순천도(順天道): 항상 옳은 길을 따르라.
10, 지명한(知命限): 수명의 한도를 알라.
11, 청심(淸心): 마음을 깨끗이 하라.
12, 과욕(寡慾): 욕심을 부리지 말라.
13, 인내(忍耐): 참고 견디라.
14, 유순(柔順): 성질을 부드럽고 순하게 하라.
15, 겸화(謙和): 행동은 겸손하고 화목하게 하라.
16, 지족(知足): 스스로 만족할 줄 알라.
17, 염근(廉勤): 청렴하고 근검하라.
18, 존인(存仁): 어진 마음이 늘 있어야 한다.
19, 절검(節儉): 절약하고 겸손하라.
20, 처중(處中): 중용을 지켜 치우치지 말라.
21, 계살(戒殺): 생명체를 죽이지 말라.
22, 계노(戒怒): 성내지 말라.
23, 계폭(戒暴): 행동이 거칠지 말라.
24, 계탐(戒貪): 탐욕을 내지 말라.
25, 신독(愼獨): 행동을 신중히 하라.
26, 지기(知機): 순리를 잘 인식하라.
27, 보애(保愛): 연약자를 사랑으로 보호하라.
28, 염퇴(廉退): 물러날 줄 알아라.
29, 수정(守靜): 고요함을 지켜라.
30, 음즐(陰櫛): 은연중에 안정하라.
이 재료를 잘 썰고 덖어서 가루를 만들고 거기에‘마음의 불’두 대접을 잘 저어서 느긋하게 달여 때를 가리지 말고 수시로 따뜻하게 복용한다.
참으로 훌륭한 처방인 것이다. 병원에 있어보면 정말 어떤 약으로도 치료가 될 수 없는 병이 많이 있다. 그것은 곧 마음의 병인 것이다. 병은 마음에서 시작된다. 사람이 시기하고 질투하면 파괴적이며 건강에 해롭다. 사람에게서 만족을 앗아가고 분노와 미움과 살인을 일으킨다. 그것은 대단히 해로운 감정이며, 불면증과 위장병을 일으킨다.
분노는 혈압에 영향을 미치며 심장질환, 두통, 출혈, 현기증 및 발성 능력을 상실한다. 반면에 평온한 마음과 정신의 평화는 건강한 신체를 갖게 해준다.
'제이 이 헤드'박사는 '암'이라는 그의 저서 85면에서 말하기를 "충격과 근심, 증오, 분노, 질투, 복수심, 악의와 같은 감정은 내분비선에 부가적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압력을 받으면, 위와 내장의 기능이 저지당한다. 근육에 유해한 독소가 생긴다. 이렇게 되면 정신 기능이 저해 받게 된다. 따라서 건강에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동양의 유대인이 기록한 66권의 <성경(聖經)> 가운데 갈라디아 5:22, 23에 의하면 인간이 행실에서 충실하게 맺어야 할 "아홉가지의 열매"가 나와 있다. 첫째(사랑), 둘째(희락,기쁨,즐거움), 셋째(화평,평화), 넷째(오래참음,인내), 다섯째(자비,친절), 여섯째(양선,선함), 일곱째(충성,믿음), 여덟째(온유,온화), 아홉째(절제,자제) 라고 한다. 성경을 믿고 있는 종교인들은 그것을 '성령의 열매' 또는 '영의 열매'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성경을 믿고 있다고 주장하는 수많은 유대인과 가톨릭 교인과 프로테스탄트 교인들이 말이나 행실에 있어서 진짜로 '영의 열매'를 맺은 사람이 지구상에 과연 몇 명이나 되겠는가?
서로에게 관심을 나타내주고, 격려해주고, 안부를 묻고, 좋은 것은 혼자만 알지 말고 이웃과 교환하며, 서로 먼저 베풀고, 받는 것보다 주는 것을 더 많이 하자. 자기보다 헐벗고, 굶주리고, 못배우고, 소외된 사람에게 관심과 자비를 나타내자. 그렇게 할 때 진정한 사람의 미덕인 것이다. 열렬히 이웃을 사랑하도록 하자. 그러한 인생의 삶을 살아갈 때 희망이 있고 의미있는 삶이 될 것이다. 남을 사랑하는 사람은 저절로 건강한 정신과 건강한 육체를 갖게 될 것이다. 서로 이웃을 열렬히 사랑하자 !!!
모든 질병은 마음에서 온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60 청춘의 비결> 40-42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병은 마음에서 온다>는 말은 의학적으로 지당하다
사람의 마음은 생각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
사람의 마음은 뇌간, 대뇌변연계, 대뇌피질로 구성되는 뇌수안의 A10 신경(쾌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A10 신경은 쾌감신경으로서 어떤 자극을 받게 되면 우리들에게 쾌감을 불러일으킨다.
이 신경이 식욕이나 성욕, 체온조절과 같은 극히 초보적인 생리적요구로부터 운동, 학습, 기억 등과 최종적으로는 가장 높은 인간정신을 지배하는 뇌수의 전두연합에까지 이어 져 있다.
맛 있는 음식을 먹거나 운동이나 독서때 커다란 쾌감을 느끼는 것은 누구나 경험하는 일이다.
사회와 국민을 위하여 좋은 일을 하거나 남을 위해 좋은 일을 하였을 때 흔히 사람들은 정신적인 희열을 느낀다.
사람의 사고와 행동에서 생기는 이러한 쾌감은 모두 <A10 신경(쾌감신경)의 작용>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 졌다.
A10 신경은 지금으로부터 20여년전에 발견된 새로운 신경으로서 그 발견이 베타엔돌핀과 같은 뇌내모르핀의 존재를 알 수 있게 한 실마리가 되었다.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에도 A10 신경은 있어 일종의 쾌감을 느끼지만 A10 신경을 조절할 수 있는 고급스러운 뇌수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대뇌피질을 가지고 있는 인간은 A10 신경을 통하여 쾌감을 느끼고 A10 신경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그것을 조절하는 열쇠를 쥐고 있는 물질이 뇌내포르핀의 하나인 <베타엔돌핀>이다.
사람도 뇌수에서 대뇌피질을 떼내면 개나 고양이처럼 되고 만다.
만일 대뇌변연계까지 떼내면 사람은 사람이라 해도 파충류와 다름 없는 뇌수 수준으로 떨어 진다.
우리가 식생활 등을 통해서 짐승들과 다른 의의를 부여하고 그것들을 통해서 일정한 쾌락을 느끼는 것은 다 내뇌피질의 덕이라 할 수 있다. 그보다 높은 수준에서 자기의 목적을 실현하거나 끊임없이 높은 요구를 제기하는 것도 대뇌피질이 있는 조건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이것은 다 그 과정을 통하여 쾌감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아무리 숭고한 이상을 가지고 있다 해도 쾌감을 맛볼 수 없는 것이라면 결국에는 포기하고 만다.
사람에게는 좋은 일을 하면 좋은 호르몬이 나오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하늘의 조물주, 국가와 집단을 위한 일, 조직과 단체를 위한 일, 부모처자와 고향, 친척을 위한 일이라고 생각하면 힘든 일을 한다해도 쾌감을 느끼게 된다.
그런 경우에는 뇌파에서 <알팔파>가 나오며 <베타엔돌핀>이 샘솟듯 분비된다.
베타엔돌핀은 기억력을 좋게 하고 사람들과의 관계를 좋게 하는데도 관여한다.
결국 사람이 모든 정신활동을 순조롭게 유도하는가 아니면 악순환으로 유도하는가 하는 것은 오직 자기 자신의 생각여하에 달려 있다.
[사진 1-3. A10신경의 위치, 사진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A10 신경은 쾌감신경으로서 식욕, 성욕, 체온조절과 같은 생리적 요구로부터 운동, 학습, 기억 나아가서는 가장 높은 인간정신을 지배하는 전두연합야에 이어져 사람에게 쾌감을 불러 일으킨다>
[대뇌피질의 3가지 기능]
1, 운동야(운동기능)
2, 감각야(감각기능)
3, 전두연합야(사고, 추리, 감정, 계산, 기억 등)
[그림 2-7. 대뇌피질의 기능, 출처: 60 청춘의 비결 172면]
사물 현상에 대하여 모두 좋은 방향으로 생각하면 <베타엔돌핀>이 분비되면서 기분이 좋아 진다. 그러나 불쾌하게 생각하거나 증오하고 원망하거나 화가 나면 <베타엔돌핀>이 분비되지 않는다.
옛부터 일러 오는 물건은 보기 탓이고 마음은 가지기 탓이며 병은 마음에서 온다는 말은 실로 지당하다.
<참으로 행복하다>, <기쁘다>, <좋다>, <괜찮다>라고 생각하면 베타엔돌핀의 세계에 들어 가고 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불쾌하다>, <고통스럽다>, <원망스럽다>라고 생각하면 결국 자기 파멸에 이르게 된다.
21세기 건강법과 의료활동에서 기본 연구 대상은 뇌내모르핀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하고 강한 정신력을 키워 나아가겠는가 하는 것에 돌려 져야 할 것이다.
병은 마음에서 온다>는 말은 의학적으로 지당하다
사람의 마음은 생각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
사람의 마음은 뇌간, 대뇌변연계, 대뇌피질로 구성되는 뇌수안의 A10 신경(쾌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A10 신경은 쾌감신경으로서 어떤 자극을 받게 되면 우리들에게 쾌감을 불러일으킨다.
이 신경이 식욕이나 성욕, 체온조절과 같은 극히 초보적인 생리적요구로부터 운동, 학습, 기억 등과 최종적으로는 가장 높은 인간정신을 지배하는 뇌수의 전두연합에까지 이어 져 있다.
맛 있는 음식을 먹거나 운동이나 독서때 커다란 쾌감을 느끼는 것은 누구나 경험하는 일이다.
사회와 국민을 위하여 좋은 일을 하거나 남을 위해 좋은 일을 하였을 때 흔히 사람들은 정신적인 희열을 느낀다.
사람의 사고와 행동에서 생기는 이러한 쾌감은 모두 <A10 신경(쾌감신경)의 작용>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 졌다.
A10 신경은 지금으로부터 20여년전에 발견된 새로운 신경으로서 그 발견이 베타엔돌핀과 같은 뇌내모르핀의 존재를 알 수 있게 한 실마리가 되었다.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에도 A10 신경은 있어 일종의 쾌감을 느끼지만 A10 신경을 조절할 수 있는 고급스러운 뇌수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대뇌피질을 가지고 있는 인간은 A10 신경을 통하여 쾌감을 느끼고 A10 신경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그것을 조절하는 열쇠를 쥐고 있는 물질이 뇌내포르핀의 하나인 <베타엔돌핀>이다.
사람도 뇌수에서 대뇌피질을 떼내면 개나 고양이처럼 되고 만다.
만일 대뇌변연계까지 떼내면 사람은 사람이라 해도 파충류와 다름 없는 뇌수 수준으로 떨어 진다.
우리가 식생활 등을 통해서 짐승들과 다른 의의를 부여하고 그것들을 통해서 일정한 쾌락을 느끼는 것은 다 내뇌피질의 덕이라 할 수 있다. 그보다 높은 수준에서 자기의 목적을 실현하거나 끊임없이 높은 요구를 제기하는 것도 대뇌피질이 있는 조건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이것은 다 그 과정을 통하여 쾌감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아무리 숭고한 이상을 가지고 있다 해도 쾌감을 맛볼 수 없는 것이라면 결국에는 포기하고 만다.
사람에게는 좋은 일을 하면 좋은 호르몬이 나오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하늘의 조물주, 국가와 집단을 위한 일, 조직과 단체를 위한 일, 부모처자와 고향, 친척을 위한 일이라고 생각하면 힘든 일을 한다해도 쾌감을 느끼게 된다.
그런 경우에는 뇌파에서 <알팔파>가 나오며 <베타엔돌핀>이 샘솟듯 분비된다.
베타엔돌핀은 기억력을 좋게 하고 사람들과의 관계를 좋게 하는데도 관여한다.
결국 사람이 모든 정신활동을 순조롭게 유도하는가 아니면 악순환으로 유도하는가 하는 것은 오직 자기 자신의 생각여하에 달려 있다.
[사진 1-3. A10신경의 위치, 사진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A10 신경은 쾌감신경으로서 식욕, 성욕, 체온조절과 같은 생리적 요구로부터 운동, 학습, 기억 나아가서는 가장 높은 인간정신을 지배하는 전두연합야에 이어져 사람에게 쾌감을 불러 일으킨다>
[대뇌피질의 3가지 기능]
1, 운동야(운동기능)
2, 감각야(감각기능)
3, 전두연합야(사고, 추리, 감정, 계산, 기억 등)
[그림 2-7. 대뇌피질의 기능, 출처: 60 청춘의 비결 172면]
사물 현상에 대하여 모두 좋은 방향으로 생각하면 <베타엔돌핀>이 분비되면서 기분이 좋아 진다. 그러나 불쾌하게 생각하거나 증오하고 원망하거나 화가 나면 <베타엔돌핀>이 분비되지 않는다.
옛부터 일러 오는 물건은 보기 탓이고 마음은 가지기 탓이며 병은 마음에서 온다는 말은 실로 지당하다.
<참으로 행복하다>, <기쁘다>, <좋다>, <괜찮다>라고 생각하면 베타엔돌핀의 세계에 들어 가고 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불쾌하다>, <고통스럽다>, <원망스럽다>라고 생각하면 결국 자기 파멸에 이르게 된다.
21세기 건강법과 의료활동에서 기본 연구 대상은 뇌내모르핀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하고 강한 정신력을 키워 나아가겠는가 하는 것에 돌려 져야 할 것이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쉽게정리된의학정보 (0) | 2023.01.07 |
---|---|
잠 잘자는 방법과 일어나는 방법 (0) | 2023.01.05 |
前立腺炎 症狀의 원인과 치료 (1) | 2023.01.05 |
[CES 2023] “이제 병원 갈 필요없다”…코로나 이후 대폭 진화한 헬스케어 기술 (1) | 2023.01.05 |
코로나 새 변이 바이러스 (0) | 202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