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들 이야기

통영-군산에 속초-포천까지…전국 시군구 절반 ‘소멸위험’

통영-군산에 속초-포천까지…전국 시군구 절반 ‘소멸위험’

입력 2022-04-29 12:00업데이트 2022-04-29 13:22
 
 
2020년 102곳이었던 국내 소멸위험지역은 올 3월 113곳으로 2년 만에 11곳 늘었다. 전국 시군구의 약 절반이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가 줄어 소멸 위험에 처한 것으로 분류된 것이다. 특히 경남 통영과 전북 군산 등 최근 제조업이 쇠퇴한 지역들이 처음으로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29일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일자리사업평가센터장이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에 게재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 3월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전국 228개 시군구(제주와 세종은 각각 1개 지역으로 계산) 중 113곳(49.6%)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소멸위험지역은 2010년 61곳, 2015년엔 80곳이었다.

소멸위험지수는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이다. 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가임여성 인구보다 노인 인구가 2배 이상 많아 인구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제조업 쇠퇴로 젊은층의 인구 유출이 많았던 경남 통영시과 전북 군산시는 올해 처음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이번 보고서는 지방 소멸위험의 주요 원인으로 ‘제조업 쇠퇴’를 꼽았다.

전국 시군구의 2020년(왼쪽)과 2022년 소멸위험지수 변화. 초록색은 정상지역, 노란색은 소멸주의, 주황색은 소멸위험 진입, 빨간색은 소멸 고위험을 뜻한다. 소멸위험 진입 및 소멸 고위험 지역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통계청에 따르면 2013년 대비 2019년 제조업 취업자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지역이 통영(―38.3%)과 군산(―26.3%)이다. 이 센터장은 “조선업 밀집 지역을 포함한 영호남의 전통적인 산업도시들의 제조업 취업자 감소가 지방 소멸위기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최근 10년 동안 대도시의 구도심, 산업 쇠퇴 지역을 주역으로 인구 순유출이 많아졌다”며 “청년 인구 유출은 지역 인적 자본의 붕괴를 의미하기 때문에 미래의 지속 가능성까지 위협하게 된다”고 말했다.

경기 포천시와 동두천시 등 수도권 외곽에서도 소멸위험지역이 늘고 있다. 이 밖에 강원 속초시, 충북 충주시, 충남 당진시·서산시, 전북 익산시, 전남 여수시·나주시 등이 소멸 위험에 처한 것으로 조사됐다. 속초와 여수 등 주요 관광지로 급부상하며 활기를 찾고 있는 지방 주요 도시들도 인구 절벽의 ‘파고’를 피하지 못했다.

 
소멸위험지수가 1.5 이상인 ‘소멸저위험지역’은 올해 처음으로 한 곳도 없었다. 2020년 조사에선 경기 화성시, 울산 북구 등 5곳이었다. 정상지역(소멸위험지수 1.0~1.5 미만)은 2년 전 40곳에서 23곳으로 줄었다. 반면 소멸위험지수 0.2미만인 ‘소멸고위험지역’은 같은 기간 22곳에서 45곳으로 늘었다.

대도시도 소멸 위험이 먼 얘기가 아니다. 부산 금정구, 대구 남구 등 대도시에서도 소멸위험 경계에 있는 지역이 나타나고 있다. 이 센터장은 “대도시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을 뿐 아니라, 높은 집값 때문에 인근 신도시로 이주하는 젊은층이 늘면서 소멸위험지수가 악화되고 있다”며 “지방소멸 위험이 양적 확산 단계를 넘어 질적 심화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