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보 국방

北, 트랙터로 안심시킨뒤 미사일…"빨치산식 무력시위 전술"

北, 트랙터로 안심시킨뒤 미사일…"빨치산식 무력시위 전술"

중앙일보

입력 2021.09.13 07:49

업데이트 2021.09.13 08:33

정용수 기자

북한이 신형 장거리순항미사일 발사실험을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3일 전했다.

북한 국방과학원이 11일과 12일 새로 개발한 신형 장거리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3일 보도했다. [뉴스1]

통신은 “국방과학원은 9월 11일과 12일 새로 개발한 신형장거리순항미사일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며 “발사된 장거리순항미사일들은 우리 국가의 영토와 영해 상공에 설정된 타원 및 8자형 비행궤도를 따라 7580초를 비행하여 1500㎞ 계선의 표적을 명중했다”고 주장했다.

통신은 “시험 발사를 통해 새로 개발한 터빈송풍식 발동기의 추진력을 비롯한 기술적 지표들과 미사일의 비행 조종성, 복합유도결합방식에 의한 말기유도명중정확성이 설계상 요구들을 모두 만족시켰다”며 “총평 무기체계 운영의 효과성과 실용성이 우수하게 확증됐다”고 설명했다.

통신은 장거리순항미사일을 “당 제8차 대회가 제시한 국방과학발전 및 무기체계 개발 5개년 계획 중점목표달성에서 커다란 의의를 가지는 전략무기”라며 “지난 2년간 과학적이며 믿음직한 무기체계 개발공정에 따라 추진돼왔으며 이 과정에 세부적인 부분시험들과 수십 차례의 발동기지상 분출시험, 각이한 비행시험, 조종유도시험, 전투부위력시험 등을 성과적으로 마쳤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 중앙의 특별한 관심 속에 중핵적인 사업으로 완강히 추진돼온 이 무기 체계의 개발은 우리 국가의 안전을 더욱 억척같이 보장하고 적대적인 세력들의 반공화국 군사적 준동을 강력하게 제압하는 또 하나의 효과적인 억제 수단을 보유한다는 전략적 의의를 가진다”고 평가했다.

통신은 그러나 발사위치와 표적이 설치된 장소는 공개하지 않았다. 신형 미사일 발사시 현장을 찾곤했던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참관하지 않았다. 대신 지난 7일 정치국 상무위원에 오른 박정천 당 비서를 비롯, 김정식 군수공업부 부부장, 전일호 국방과학원 당비서가 발사현장을 챙겼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지난 1월 22일과 3월21일 순항미사일에 이어 같은달 25일 탄도미사일 등 올들어 네번째다.

특히 이번 미사일 발사는 한미연합훈련을 마치고 진행됐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한미가 연합훈련을 실시할 경우 북한은 단거리탄도미사일을 쏘거나 포사격훈련 등으로 맞대응하곤 했다. 김 위원장이 군부대를 찾는 경우도 있었다. 북한은 지난달 김여정 부부장을 내세워 훈련 중단을 강하게 요구했지만, 지난달 26일 훈련이 끝난 뒤엔 잠잠한 모습이었다. 그러다 11일과 12일 연거푸 사거리 1500㎞의 장거리 순항미사일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이는 지난 1월 김 위원장의 신형 무기 개발 지시를 이행하는 차원이자,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의 틈을 노렸을 가능성이 크다. 유엔은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적용한 발사체의 발사를 금지하고 있다. 그런만큼 장거리탄도미사일을 쏠 경우 추가 대북제재가 이어질 수 있다. 그런만큼 북한은 국제사회가 설정한 ‘레드라인’을 넘지 않으면서도 무력시위에 나선 모양새다. 순항미사일은 탄도미사일에 비해 속도가 느리고 파괴력이 작지만 요격이 쉽지 않다. 탄두소형화를 통한 전술핵 탑재도 가능하다.

이를 두고 북한의 빨치산식 무력시위라는 지적도 있다. 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북한은 각종 첨단무기를 공개했던 이전과 달리 지난 9일 0시 평양에서 진행한 열병식에선 한국의 예비군에 해당하는 민간무력과 사회안전무력(경찰력) 만 동원했다”며 “트랙터 등의 재래식 무기를 통해 예비군의 전력을 보여주고 안심시킨 뒤, 제재를 피하면서도 첨단무기를 들고 나오는 전술을 편 것”이라고 분석했다.

'싱거운' 열병식 이후 주민들의 무도회를 개최하는 등 정부수립기념일 축제분위기로 주변의 우려를 불식시킨 뒤 미사일 발사에 나선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