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대의 흔적

할머니 묘를 튤립 화원으로 바꾼 이유

[아무튼, 주말]
[김두규의 國運風水]
묘지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다

김두규 우석대 교양학부 교수

입력 2021.04.24 03:00 | 수정 2021.04.24 03:00

 

 

참으로 야박하다. 무덤에 대해서이다. 대형 축사들로 국토를 오물 범벅으로 만들고, 태양광발전 시설로 대지에 대못을 박으면서도, 전통 묘지에 대해 정부가 지나치게 야박하게 군다. “짐승은 모르나니 고향인지라/사람은 못 잊는 것 고향”이며, 그 고향이란 “조상님 뼈 가서 묻힌 곳”이라고 김소월은 읊었다. 어찌 짐승에게도 고향이 없겠는가? ‘여우도 죽을 때는 고향의 언덕을 그리워한다(수구초심·首丘初心)’고 하였다. 그리하여 조상님들이 묻힌 선영은 고향의 ‘원형(archetype)’이 되었고, 그 후손들이 언젠가 가야 할 그립고도 성스러운 곳이 되었다.

김두규 교수 할머니의 묘. 해마다 멧돼지가 파헤쳐 작년엔 아예 봉분을 없애고 튤립을 심어 묘역을 화원으로 바꿨다. /김두규 교수

‘고향’은 한 집안의 선영으로만 한정되지 않았다. 율곡(이이) 선생은 고향 개념을 확장시켰다. “이승의 삶이란 풀잎에 맺힌 이슬과 같은 것이요, 죽어서 몸을 맡기는 곳이야말로 영원한 것이다. ‘삶은 잠시 머무는 것이며, 죽음은 본래 자기 집으로 돌아가는 것(生寄死歸·생기사귀)’이란 말은 틀린 말이 아니다. 따라서 산 사람의 집(주택)은 여관일 뿐이며, 죽어서 묻히는 산 언덕(무덤)이 참된 집(眞宅·진택)이다.” 율곡은 같은 산에 묻힌 다른 문중 후손들과 “풍수계”를 맺어 상호 친목을 도모하였다. 같은 산에 조상을 모신 사람들이라면 모두 같은 고향 사람이란 뜻이다.

이제 그러한 ‘고향’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부가 ‘실향민’을 만들기 때문이다. 현행 묘지법은 “조상님 뼈 가서 묻힌 고향”으로의 귀향을 차단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그린벨트로 지정된 선영은 더는 묘를 쓰지 못하게 한다. 오히려 기존 선영까지 파나가라고 강요한다. 또 도로 신설과 각종 개발은 기존에 있던 조상님들까지 이향(離鄕)을 강요한다. 도시 근교의 납골당이나 사설공원 묘지행을 강요받는다.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몇천만원에서 몇억원까지의 비용이다). 비용을 감당할 수 없으면 유골을 수목장으로 하거나 산하에 뿌려 참된 집을 잃게 된다.

 

정부 규제와 건설업자 개발 때문만은 아니다. 바뀐 문화 탓이기도 하다. 전통 가치를 부정하는 ‘탈감정의 사회에 죽은 자의 세계를 무시하는 지금의 인스턴트 장례 문화’ 탓도 한몫한다(스테판 메스트로비치, ‘탈감정 사회’). ‘매장도 좋고, 화장도 좋고, 수장(水葬)도 좋고, 수목장도 좋고, 구덩이에 내동댕이쳐도 좋다. 그러나 동물과 달리 인간은 쓸데없는 행위(문화)를 하는 유일한 존재이다. 죽은 자의 집이 존중되어야 하는 이유이다’(김기현, ‘선비’). 개인 혹은 가문의 인생관과 종교관에 따라 참된 집의 위치·방향·높이·양식이 달라져야 한다. 불교를 믿는 사람은 화장함이 마땅하고, 기독교와 유교를 믿는 사람들은 매장이 옳다. 교리상 그렇다.

“우리 조상의 생사관에 따라 전통문화로서 묘지 문제가 계승되어야 한다”며 현행 묘지법 개정을 주장하는 박준배 전북 김제시장의 말은 일리가 있다. 박 시장은 그린벨트 내 기존 선영에 후손들 묘지 조성을 허용하고, 동네로부터 일정한 거리 안 묘지를 금하는 것도 폐지하라고 주장한다. 일본이나 유럽처럼 도심 안에 아름다운 묘지 정원을 만들자는 것이다.

전통 묘지 문화의 급격한 변화와 소멸이 현행 묘지법과 개발, 인스턴트 장례 문화 때문만은 아니다. 멧돼지 같은 들짐승들의 탓도 크다. 필자의 할머니 무덤 역시 해마다 멧돼지가 파헤쳐 그때마다 사초를 해야 했다. 그렇다고 파묘를 하거나 화장하여 납골당으로 모실 생각은 없었다. 작년 가을 봉분 윗부분을 없애 평평하게 하고, 그 위에 튤립 구근을 심었다. 올봄에 튤립 싹이 돋더니 화려한 꽃을 피웠다. 묘역이 화원(花園)으로 바뀌었다. 멧돼지 폐해도 없었다. 올가을에는 수선화 구근을 더 심을 생각이다. ‘고향(선영)’은 존중되어야 하고 지켜져야 한다.

#아무튼 주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