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문 건립 123주년 1
천영우
오늘 독립문 건립 123주년 기념식을 주최해 주신 미래대안행동
이대순 대표님과 국민노동조합 이희범 위원장님께 감사드립니다.
오늘날 독립문이 언제 왜 세워졌는지 모르거나
관심조차 없는 국민들이 많습니다.
독립이라고 하면 당연히 일본으로부터의 독립만 떠올리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 독립문 바로 뒤에 있는 공원이 항일 독립투사들이 투옥되어 옥고를 치르던 서대문 형무소자리였다는
사실 때문이기도 합니다.
오늘 여기 모이신 여러분들에게는 굳이 설명이 필요 없겠지만 독립문은 123년전
일본이 아니라 중국으로부터 독립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서재필 선생이 세운 기념물입니다.
독립문이 세워졌던 자리에는 원래
중국의 칙사가 무악재를 넘어오면
조선의 임금이 친히 나와 영접하던
영은문(迎恩門)과 모화관(慕華館)이 있었습니다.
‘영은문’은 ‘은혜로운 중국 사신을 영접하는
문’이란 뜻이고 ‘모화관’은 ‘중국을 사모하는 여관’이란 뜻이죠.
이 근처에 칙사의 숙소인 태평관이 있었는데
칙사를 위한 환영연회는 궁궐에서 개최한 게 아니라 임금이 태평관까지 와서 베풀었습니다.
조선의 국왕보다
중국 칙사의 의전서열이 더 높았기 때문에 칙사를 함부로 궁궐에 오라 가라 할 수가 없었고
국왕이 칙사를 찾아와야 했었습니다. 요즘 식으로 하자면 중국 대사가 도착할 때
대통령이 공항에 나가서 영접하고 대사를 접대하러 명동의 관저로 대통령이 찾아가는 식입니다.
중국의 사신이 와 있는 동안에는 매일 아침부터 저녁까지 극진한 향응을 베풀고 돌아갈 때는 엄청난 선물을 안겨주었습니다. 칙사대접이라는
말도 여기서 나왔습니다.
칙사가 한번 다녀갈 때마다 국고의 절반이 날아갈 지경이었다고 합니다.
조선 왕은 세자를 책봉하는 데도 중국 천자의 결재가 필요했습니다.
중국의 천자가 차기 임금의 임면권까지 행사한 셈이었으니 이러한 인사권을 무기로 칙사가 얼마나 횡포를 부렸겠습니까? 이런 칙사를 상대로 로비하고 환심을 사는 데 국가재정을 탕진했고
조선에 칙사로 다녀간
중국의 관리는 거금을 벌어갔다고 합니다.
123년전 서재필 선생이 영은문과 모화관을 허물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운 것은 중국에 대한 사대와 굴종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근대적인 자주 독립국가로 거듭나려는 의지를 대내외에 확실히 각인시키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서재필 선생은 1884년 개화파가 주도한 갑신정변에 가담했다가 청나라군대의 진압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아
미국에서 오랜 망명생활을 하다가 청일전쟁으로
조선이 청나라에서 해방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귀국했습니다.
귀국 후에는 11년 전
청나라의 개입으로 좌절된 개화의 꿈을 이루기 위해 독립협회를 만들고
독립신문을 창간하여 자주독립국가건설을 위한 의식화 운동에 앞장선 위대한 선각자였습니다.
서구문명의 세례를 받고 독립협회를 결성한 선각자들은 근대화와 자강을 통해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할 천금 같은 기회의 창을 열었습니다만 왜 이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13년만에 일본에 나라를 빼앗겼을까요?
나라가 망하는 데는 이유가 많겠지만 그 중에서도 으뜸은 나라의 진로를 둘러싼
지도층의 분열,
국제정세에 대한 무지와 오판, 그리고 국왕의 무능이 합작해서 만든 비극입니다.
첫째, 지도층이 분열된 이유는 중국의 정치적 지배에서
해방된 이후에도 조선의 주류사회는 여전히
중국의 문화적 정신적 지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정신분열증세를 겪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이념전쟁에서 독립협회를 중심으로 한 개화파가 주자성리학적 세계관에 함몰된 수구세력에 이길 수 없었습니다. 화이질서(華夷秩序)라는 이분법적 관점에서 세계를 바라보던
조선의 위정척사(衛正邪)파들에게 중국은 문명이고 선이었고
일본과 서양은 야만과 악을 대표하는 세력이었습니다. 개화만이 조선이 기사회생할 길이었지만 메이지 일본을 본받자는 발상은 친중 수구세력으로서는 도저히 따라갈 수도 용납할 수도 없는 이단적이고 혁명적인 발상이었습니다.
개화의 원조가 일본이라는 이유만으로도 조선 주류사회는 거부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고 갑신정변과 갑오개혁이 좌절된 것도 그 때문이라고 봅니다. 조선의 위정척사파에 해당하는 일본의 ‘존왕양이(尊王攘夷)파’는 ‘서양오랑캐’에 이기는 방법을 서구식 개혁에서 찾고 메이지 유신의 주체세력이 되었는데 조선의 위정척사파는 이렇듯 목숨 걸고 개화를 가로막는 수구세력이 되었습니다.
결국 반일 근본주의에 함몰된 나머지 자발적 개화와 자강의 기회를 놓치고 오히려 일본의 침탈을 앞당기는 결과를 초래한 건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조정과 사대부들이
세계 대세에 너무 어두웠습니다. 한반도에 이해관계를 가진 열강들이 가장 걱정한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이었습니다. 일본이 러시아의 위협에 가장 민감했지만
영국도 1885년에 거문도를 점령하고
1902년에는 영일동맹을
맺을 만큼 러시아의 남하정책를 저지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미국과 중국도 러시아를 견제해야 한다는 데는 이해관계가 일치했습니다. 그런데 조선만 이러한 세계의 대세에 역행하여 러시아를 한반도에 끌어들이는 데 앞장섰습니다. 조선은 일본뿐 아니라 영국, 미국 등 우리 편이 되어줄 만한 강대국들을 모두 적으로 만드는 자해적 외교에 매달린 것입니다.
친러시아 정책의 주역이었던 민비가 일본에 살해당한 후 1896년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것은 조선의 운명을 되돌릴 수 없게 만든 결정적 패착이었습니다.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서 내린 첫 번째 어명은 갑오개혁세력을 역적으로 몰아 효수를 명한 것이었습니다. 이로서 조선의 자발적 개혁의 희망은 사라지고 일본은 전쟁을 통해서라도 러시아를 한반도에서 몰아낼 결심을 굳히게 되었습니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탈하기 위한 을사늑약을 강요할 때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우리에게 힘이 되어줄 만한 나라들을 모조리 돌아서게 만든 외교실패에 근본 원인이 있다고 봅니다. 물론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 이겨 동아시아의 패권국가가 된 일본과 싸워서 우리가 이길 힘도 없었지만 친러 정책이 일본의 조선 침탈에 빌미를 제공하고 고립무원을 자초한 사실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끝으로, 조선이 실존적 위기에 처했을 때 우리의 군주는 너무 무능하고 무기력하고 우유부단했습니다. 고종은 자신의 왕권을 지키기 위해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를 중심으로 한 개화파를 박해하고 망국을 자초한 우매한 군주였습니다. 27명의 조선 왕들 가운데 무능의 챔피언을 뽑으라면 임진왜란 때의 선조, 병자호란 때의 인조,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고종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겠지만 저는 고종에게 한 표 던지는 데 주저하지 않겠습니다.
그런데 독립문이 건립된 지 123년이 지난 지금 대한민국의 모습은 어떤가요? 123년 전에 비해 국가 지도층은 더 현명해지고 국제적 대세는 더 잘 파악하고 있는 것 같습니까? 반일 근본주의와 친중 사대주의의 망령이 오히려 되살아나고 있는 것 같지 않습니까?
역사적으로 한반도에 대한 위협은 항상 동아시아에서 패권을 추구하는 세력에서 왔습니다. 1895년 청일전쟁에서 태평양전쟁이 터질 때까지 동아시아의 패권국가는 일본이었습니다. 그 사이에 세상이 바뀌어 지금은 중국이 동아시아의 신흥 패권세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20세기 초반까지는 강대국에 둘러싸인 약소국이 생존할 수 있는 길은 패권세력과 가급적 정면충돌을 피하고 속국이 되거나 굴종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120여 년 전에 일본의 패권으로부터 조선의 독립을 지키는 것이 지상 과제였듯이 앞으로는 중국의 패권적 횡포에서 대한민국을 지키는 것이 외교안보정책의 최대 숙제입니다.
120여 년 전에는 한반도에 영토적 야심이 없는 역외 강대국과 동맹을 통해 패권세력에 대항하는 것은 불가능한 옵션이었습니다. 그런데 20세기 후반에 들어오면서 미국과의 동맹으로 주변 강대국의 위협과 침탈에서 대한민국을 지킬 새로운 길이 생겼습니다. 중국에 굴종하지 않고 당당히 중국의 압박과 위협에 대항할 수 있는 세상을 만났는데도 한미동맹을 활용할 생각을 못하고 굴종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시대의 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생들의 생각! (0) | 2020.11.27 |
---|---|
덕필유린(德必有隣) (0) | 2020.11.27 |
독립문 건립 123주년 기념사 2 (0) | 2020.11.22 |
400년 가문의 전쟁…안동 류성룡·김성일 갈등 끝났다 (0) | 2020.11.19 |
아름다운 우정 (0) | 2020.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