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보 국방

文의 종전선언·평화협정 삭제... 尹정부 새 안보전략 나왔다

한반도 문제, 글로벌 관점서 접근

입력 2023.06.07. 17:58업데이트 2023.06.07. 18:01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문화제조창 광장에서 열린 KTX 평택-오송 고속철도 2복선화 사업 착공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뉴스1

대통령실이 7일 안보 관련 최상위 전략 기획 지침인 ‘국가안보전략(안보전략)’을 공개했다. 윤석열 정부의 지향 목표는 ‘자유, 평화, 번영의 글로벌 중추 국가’로 제시됐다. 지난 2018년 11월 문재인 정부의 안보전략 목표가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였던 것과 대조된다. 남북관계를 최우선시했던 전임 정부와 달리 한미 동맹 및 한·미·일 협력 강화 등 국제 공조로 ‘원칙을 통한 남북관계 정상화’ 추진 기조를 드러냈다는 평가다. 안보 전략은 노무현 정부 이후 새 정부 출범 때마다 5년 주기로 작성된다.

윤석열 정부는 “북한의 핵·WMD(대량살상무기)는 당면한 최우선적 안보 위협”이라며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우리의 독자적 대응 역량을 획기적으로 보강하고자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유민주주의 연대 강화’와 ‘힘에 의한 능동적 평화 구축’을 내세웠다. 이를 위해 한미 동맹·확장억제 강화와 더불어 한국형 3축 체계 구축, ‘담대한 구상’ 가동을 제시했다. 문재인 정부 전략서에선 북핵 위협에 대한 별다른 기술 없이 당시 남북, 북·미 정상회담을 언급하며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남북 간 군사적 신뢰 구축’ ‘한미 공조하 북·미 관계 정상화 지원’을 강조했었다. 문재인 정부가 남북 관점에서 접근했다면 윤석열 정부는 한미 동맹과 한·미·일 협력 강화 등 국제적 공조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겠다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에서 강조했던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은 이번 전략서에 들어가지 않았다.

대통령실은 안보 전략에서 “일시적으로 전쟁을 회피하기만 하는 취약한 평화가 아닌 굳건한 안보를 바탕으로 자유와 번영이 보장된 지속가능한 평화를 구축하겠다”(윤석열 대통령의 서문)고 했다. 대통령실은 안보 정세와 관련해 “미국·중국 간 전략경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유럽과 인도·태평양 국가의 안보 불안이 심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대통령실은 그러면서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강화’ ‘한·미·일 협력 제고’ ‘보편적 가치와 공동 이익에 기반한 동아시아 외교’를 바탕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이런 접근은 한반도 정세를 ‘연이은 남북, 북·미 정상회담으로 대화 분위기로 전환’ ‘화해·협력적인 남북 관계와 우호적인 북·미 관계 선순환’을 해법으로 제시했던 문재인 정부와 대비된다. 안보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안보 전략은 ‘한반도-세계’ 순으로 안보 정세를 기술하고 대화를 강조했지만, 윤석열 정부는 ‘세계-한반도’ 순으로 정세를 분석하며 동맹·협력국 연대를 강조하고 있다”고 했다.

일본, 중국에 대한 인식도 문 정부와 차이가 컸다. 대통령실은 미국에 대해선 ‘보편적 가치를 토대로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을 구현’, 일본에 대해선 ‘김대중·오부치 선언 정신의 발전적 계승, 과거를 직시하고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나감’이라고 했다. 문재인 정부 당시 미국과 ‘호혜적·포괄적 동맹으로 발전’을 지향하고 일본에 대해 ‘역사를 직시하면서 역사 왜곡 및 독도에 대한 부당한 주장에 단호히 대응’을 강조한 것을 감안하면 미·일과의 협력을 한층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에 대해서는 ‘상호 존중, 호혜 입각해 건강하고 성숙한 관계’를 제시해,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내실화’를 내걸었던 문 정부보다 거리를 둔 것으로 해석됐다. 지난 정부는 한·미·일 협력에 대해서도 안보 전략에 별다른 기술을 하지 않았지만, 윤석열 정부는 ‘새로운 수준으로 협력 제고’를 목표로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안보 전략 서문에서 “국가안보는 이제 더이상 외부의 침략을 막는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개념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며 “다가올 변화의 흐름을 미리 읽어내고 국가안보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야말로 국가 미래를 좌우할 열쇠”라고 했다.

조선일보 사회부, 특별취재부, 정치부, 논설위원을 거쳐 지금은 정치부에서 대통령실을 취재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을 출입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