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른소리

[사설] 끝없는 대기업發 임금 인상, 자제하고 상생 해법 찾아야

조선일보

입력 2022.07.02 03:22
 
 
 
 
 
현대차 미국 앨라배마 공장.

현대차 노조가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임금피크제 폐지,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대기업들의 과도한 임금 인상이 물가를 자극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는데도 평균 연봉 9600만원을 받는 대표적 ‘귀족 노조’가 더 많은 몫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현대차는 작년 말 성과 우수 직원에게 500만원씩 성과급을 지급한 뒤 형평성 논란이 벌어지자 지난 3월 전 직원에게 400만원씩 특별 보너스를 추가 지급했다. 현대차뿐 아니라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대기업들이 작년 말과 올 초 성과급·격려금 등을 대거 지급한 탓에 300인 이상 기업 정규직의 평균 임금은 올 1월 924만원까지 올라 300인 미만 중소 기업(382만원)의 2.4배에 달했다. 작년 기준 중소기업 평균 임금은 대기업의 59%에 불과해 유럽연합(75%), 일본(68%)보다 격차가 훨씬 크다.

대기업의 고임금이 높은 노동 생산성에 기반한 것도 아니다. 현대차 미국 앨라배마 공장에선 차를 시간당 68대 생산하지만 울산 공장에선 45대에 그친다. 차량 1대 생산에 드는 노동 시간이 현대차(26.8시간)가 일본 도요타(24.1시간), 독일 폴크스바겐(23.4시간)보다 훨씬 길다. 그런데도 1인당 평균 임금은 현대차가 해외 경쟁사보다 훨씬 높다. 삼성전자도 영업이익률(18%)이 대만 TSMC(42%)의 절반도 안 되는데, 삼성전자 고졸 6년 차 연봉(9000만원)이 TSMC의 박사급 연봉(5500만원)의 1.6배에 이를 정도로 고임금을 주고 있다.

중소기업 단체들은 대기업의 고임금이 불공정한 원·하청 구조에서 대기업들이 과도하게 이익을 독식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2019년 기준, 기업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대기업(47%)과 중소기업(37%)이 엇비슷한데 영업이익 비율은 대기업(57%)이 중소기업(26%)의 2배를 웃돈다는 점에서 일리가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벌어지면서 중소 업체들은 사람을 구하지 못해 구인난에 시달리는 등 부작용이 심해지고 있다. 대기업들이 과도한 임금 인상을 억제하고 중소 협력업체에 더 많은 이익을 나눠주는 자제심을 발휘해야 한다. 곧 구성할 대통령 직속 ‘대·중소기업 상생위원회’가 상생의 모델을 찾아내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