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른소리

[사설]통합과 미래가 새 정부의 시대정신이다

[사설]통합과 미래가 새 정부의 시대정신이다

입력 2022-03-10 03:00업데이트 2022-03-10 08:47
 
20대 대선 개표 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다목적배드민턴체육관에서 제20대 대선 개표가 진행되고 있다. 송은석 기자 ilverstone@donga.com
20대 대선이 막을 내렸다. 오늘 새벽 개표율이 93%를 넘은 상황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1%포인트 이내로 앞서고 있다. 이런 추세면 역대 최소 득표율 차이로 윤 후보의 당선이 유력하다. 대선 민심이 팽팽하게 갈렸음이 두 후보의 득표율로 선명하게 확인됐다.

어느 정도 예견됐던 결과다. 대선 기간 정권교체 여론과 정권재창출 여론이 정면으로 충돌했다. 대장동 논란, 배우자 리스크 등 여야 유력 후보들이 직접 연루된 갖가지 의혹이 쏟아졌다. 지지 후보에 대한 확증편향과 상대 후보에 대한 혐오, 증오 심리가 뒤엉켜 민심의 양극화를 초래했다. 야권 후보 단일화 변수도 현실화했다. 대선 막판까지 민심이 출렁였던 이유들이다.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란 혹평과 코로나19 창궐의 위기 속에서도 우리 국민이 77%가 넘는 투표율로 주권자(主權者)의 존재감을 과시한 것은 의미가 크다. 그 결과로 향후 5년을 책임질 새 지도자를 얻게 됐다. 하지만 대선 후유증을 심히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최종 결과에 대한 반응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대통령 당선인은 상처 난 국민 마음을 치유하는 포용 행보부터 보여야 한다.

 
우리가 처한 냉엄한 현실은 승자에게 축배의 잔을 권할 여유조차 없다. 국제 안보 질서는 탈냉전에서 신(新)냉전으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미국 패권의 붕괴를 노리는 중국과 러시아의 도전은 상상 이상이고 예측 불허다. 북한 김정은은 이 틈새를 노리고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실험을 재개하기 위한 수순을 착착 밟고 있다. 반면 한미동맹은 ‘껍데기 동맹’으로 전락할지 모른다는 불길한 시그널이 쌓여 간다. 평화만 외치다 자칫 홀로 낙오될 수도 있다. 새 정부는 힘의 질서에 대응할 수 있는 정교한 안보 전략을 다시 짜야 한다.

글로벌 경제 질서도 각자도생의 각축전에 휩싸인 지 오래다. 각국은 사활(死活)을 건 기술 전쟁, 공급망 확보 전쟁에 나서고 있다. 약육강식의 정글 그 자체다. 세계 10위 경제대국이라지만 눈 깜짝할 새 밀려날 수도 있다. 코로나 대응과 아울러 세계 경제의 흐름을 꿰뚫고 디지털 전환, 탄소 중립 등에 한정된 자원과 역량을 어떻게 효율적이고 집중적으로 투입할 것인지에 미래가 달려 있다. 새 대통령의 통찰력과 혜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 아닐 수 없다.

이 모든 게 궁극적으론 정치의 문제로 귀결된다. 그 정점에 대통령이 있다. 현 정권은 촛불 민의를 진영의 좁은 시각으로 해석했다. 부동산과 원전 등 각종 정책에 자신들이 옳다고 믿는 이념을 투영했다. 국가라는 큰 그릇에 금이 쩍쩍 갔다. 사분오열된 국론을 한데 모으는 게 관건이다. 오만은 금물이다. 탕평과 협치는 엄청난 국가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국무총리 인선과 내각 구성, 국정 우선순위 수립에서부터 당선인은 야당의 의견을 적극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최고 권력자의 자리는 고독하다. 그 심리적 빈틈을 파고드는 실세 측근들에 의해 둘러싸이고 언로(言路)가 막히는 건 순식간이다. 사이렌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기 위해 자신의 몸을 기둥에 묶었다는 그리스 신화의 오디세우스처럼 오로지 국가의 전략적 이익만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듣기 싫은 얘기를 할 수 있는 참모들을 늘 곁에 둬야 함은 물론이다. 야당 의원이든, 반대편 인사든 격의 없이 만나고 날것 그대로의 다양한 소리를 듣고 국정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각 분야와 이익집단에서 새 정부에 대한 요구가 봇물처럼 쏟아질 것이다. 계층 갈등, 이념 갈등, 지역 갈등, 세대 갈등에다 젠더 갈등까지 크게 불거졌던 대선이었다. 새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산업구조 재편에 나서야 하고,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켜야 하고 지역 경제를 회생시켜야 한다. 일일이 열거할 수도 없는 난제가 첩첩산중이다. 할 일은 많고 시간과 재원은 부족하다. 전임 정권들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으며 때론 소신을 바꾸고 대선 핵심 공약도 여의치 않으면 과감히 접을 수 있어야 한다.

만인(萬人)을 만족시킬 도깨비방망이는 없다. 선택과 집중, 전략적 우선순위, 국민 설득이 중요할 뿐이다. 국가 지도자가 옳고 그름에 대한 일방적이고 편향적 기준을 정해놓고 “나를 따르라”는 식의 국정 운영을 펼치면 이전 대통령들과 똑같은 전철을 밟는 길이다. 청와대와 국회, 내각 및 일선 공직자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법과 절차에 따라 국정을 논의하고 실행하는 ‘시스템 국정’을 정착시켜야 한다.

탄핵도, 적폐도, 진영도, 정치보복도 이젠 구시대의 언어다. 특정 이념과 진영에 갇힌 대통령이 아니라 국익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대통령, 당장은 이해집단이나 지지층의 저항에 부딪히더라도 연금 개혁과 같은 젊은 세대를 위한 큰 업적을 몇 개라도 남길 수 있는 대통령을 국민은 원한다. 새 지도자가 한시도 ‘제왕’의 권력에 취하지 말고 통합과 미래를 향한 진정성을 보일 때 그를 지지하지 않았던 절반 이상의 국민도 서서히 마음의 문을 열기 시작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