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 22년(1589)에 일어난 정여립의 난과, 그것의 사후처리 과정에서 나온 기축옥사에 관하여 여러 기록들을 살펴보면, 정여립은 조선 중기의 끔찍한 모반자로서 성격이 포악 잔인한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을 간추려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그의 자는 인백(仁伯)이고 본관은 동래(東萊)로 전주 출신이며, 경사(經史)와 제자백가에 통달하였고 1570년(선조 3)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1583년 예조좌랑을 거쳐 이듬해 수찬(修撰)으로 퇴관하였다. 그는 이이ㆍ성혼의 문인으로서 원래 서인이었으나 집권한 동인에 아부하였고 스승인 이이가 사망한 뒤 그를 배반하였으며, 박순ㆍ성혼 등을 비판하여 왕이 이를 불쾌히 여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고향에서 점차 이름이 알려지자 정권을 넘보아 진안 죽도에 서실을 지어 놓고 대동계를 조직, 신분에 제한 없이 불평객들을 모아 무술을 단련시켰다. 1587년 전주 부윤이던 남언경(南彦經)의 요청으로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는 등의 공을 세우기도 하였으나, 대동계 조직을 전국으로 확대해서 황해도 안악의 변숭복(邊崇福), 해주의 지함두(池涵斗), 운봉의 승려였던 의연(依然) 등의 기인모사를 끌어모았다.
또한 『정감록』의 참설(讖說)을 이용하는 한편, 망이흥정설(亡李興鄭說)을 퍼뜨려 민심을 선동하였다. 1589년(선조 22)에는 거사를 모의하여 반군으로써 일거에 병권을 잡을 것을 계획하였는데 이때 황해 감사 한준과 신천 군수 한응인, 재령 군수 박충간, 안악 군수 이축이 그 사실을 고변하여 관련자들이 차례로 잡혔으며, 그 또한 아들 옥남과 함께 진안 죽도로 도피하였다가 잡히자, 관군의 포위 속에서 자살하고 말았다는 내용이다.
진안 마이산정여립은 진안 죽도에 서실을 지어 놓고 대동계를 조직했는데, 이는 기축옥사의 도화선이 되었다. 그는 진안 죽도로 도피하였다가 관군의 포위 속에서 자살하고 말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3년 전에 발생한 정여립 모반 사건, 즉 기축옥사를 두고 혹자는 조선왕조의 정치ㆍ사회적 구조 속에서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당연한 귀결이라거나, 지역 내 사림 사이의 갈등과 개인적인 감정 대립의 결과라는 등의 이야기를 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정여립이 당파 싸움의 희생양이지 모반사건이 아니라고도 하며, 한편에서는 모반을 하기는 했는데 거사 직전에 발각되어 실패한 미완의 혁명이라고도 한다.
1589년 무려 1천여 명이 희생당한 기축옥사의 정확한 실체가 무엇인지, 아직까지 제대로 밝혀진 것은 없다. 다만 기축옥사로 인해 김시민, 이억기, 신립, 이순신 등 임진왜란 당시 활약했던 장수들을 이끌고 이탕개의 난을 평정했던 우의정 정언신(鄭彦信)은 정여립과 구촌 간이라는 이유만으로 죽임을 당하였고, 서산대사(西山大師) 휴정은 정여립과 역모를 모의했다는 죄목으로 묘향산에서 끌려가 선조에게 친히 국문을 받았으며, 사명당(四溟堂) 유정은 오대산에서 강릉부로 끌려가 조사를 받는 등 훌륭한 인사들이 고초를 겪었다. 이처럼 많은 사람이 희생당한 기축옥사는 아직도 많은 의문점을 안은 채 진실의 그날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세상은 재주 있는 사람을 결코 사랑하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다. 전주부윤이며 양명학자였던 남언경은 “정공은 학문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그 재주도 다른 사람이 가히 따르지 못할 바이다”라고 하면서 그를 주자에 비유하였고, 이발은 정여립을 두고 “당대의 제일 인물”이라 했으며 이이 역시 “호남에서 학문하는 사람 중 정여립이 최고”라 하였다. 이렇듯 정여립은 당대의 인물이었으나 그가 가진 재주와 개혁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지 못하고 비운의 주인공으로 캐스팅되었다.
정여립의 죽음으로 모반사건은 일단락되었고 그 뒤처리가 시작되었다. 이때 선조는 정철로 하여금 위관(委官)으로 삼아 옥사를 다스리게 했는데, 서인에서도 강경파에 속했던 정철은 동인 중 평소 과격한 언행을 했던 인사들을 죽이지 아니하면 귀양을 보내는 등 매우 가혹하게 다스렸다. 그 때문에 그는 사건이 끝난 후 동인들에게 ‘동인백정’이라는 말로 미움을 받게 되었고 결국 세자의 건저(建儲) 문제로 실각하여 유배를 가게 된다.
당시 이산해는 영의정이고 정철은 좌의정이었다. 이산해는 정철이 옥사를 빙자하여 자기의 세력을 몰아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여 뜬소문을 만들어 퍼뜨렸다. 그때 정철은 금부에서 옥사를 다스리고 있었는데 임금이 비망기(備忘記)를 내려서 철을 쫓아냈다. 이에 사헌부와 사간원이 함께 정철을 논박하여 멀리 강계에 귀양 보냈다. 양사에서 또 율(律)을 더 가하고자 하였지만 이산해가 옳지 못하다 하여 중지하였다.
정철이 귀양 간 뒤에 이산해는 동인 가운데에서 정철에게 쫓겨났던 사람들을 불러들여서 조정의 관직에 앉히고, 또 정철을 따르던 서인을 쫓아냈다. 이것이 신묘년에 있었던 일진일퇴의 정국이었다. 이로부터 동인이 국정을 전담하였다.
- 『택리지』 「복거총론」
어쩌면 정여립 사건은 호남 지역의 음식 맛이 뛰어나고 판소리와 풍물, 굿, 민요 등 풍류가 발전하게 된 원인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물론 들이 넓고 물산이 풍부한 덕에 음식문화가 꽃을 피우고, 그러한 기반 위에서 문화 예술이 발전되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역사를 들여다보면 위의 주장에도 어느 정도 일리가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기축옥사가 일어나기 전 태조에서 선조 때까지 전국의 생원과 진사 합격률을 보면 서울이 1위, 전주가 2위, 나주가 3위, 남원이 상위권이었는데 선조에서 숙종 때까지를 살펴보면 서울이 1위이고 전주는 10위, 나주는 11위에 머물고 있다. 결국 기축옥사가 일어난 뒤 호남지역 사대부들은 벼슬길이 막히게 되자 맛이 있는 음식만 찾아다니고 풍류도 즐기게 되면서 맛과 멋의 고장이 되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순창 한정식
순창 고추장마을
전주 전통주박물관
기축옥사가 일어난 뒤 벼슬길이 막힌 호남지역 사대부들은 낙향하여 맛과 멋을 찾아 풍류를 즐기며 살았다. 어쩌면 정여립 사건은 호남 문화가 발전하게 된 한 원인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여립의 난과 기축옥사의 전말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1 : 살고 싶은 곳, 2012. 10. 5., 신정일)
'시대의 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梧里)이원익 같은 정승은 없는가? (0) | 2021.01.13 |
---|---|
"윤가는 나서는 성격 아니다"…尹대망론에 갈린 파평 윤씨 (0) | 2021.01.12 |
기축옥사(己丑獄事) (0) | 2021.01.10 |
5000만원 걸어도 못찾아…韓서 멸종, 해외입양해온 소똥구리 (0) | 2021.01.09 |
1950년 6.25 전쟁 후 대구 모습 (0) | 2021.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