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경북도청 부지, '대구도심융합특구' 지정
매일신문 배포 2020-12-22 16:00:42 | 수정 2020-12-22 16:07:15
대구형 '판교2밸리'…고밀도 혁신공간 조성
삼성창조캠퍼스, 경북대 연계지구까지 ‘대구형 뉴딜 거점’

옛 경북도청부지와 삼성창조경제캠퍼스, 경북대학교가 22일 정부의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지로 선정됐다. 사업의 중심이 될 옛 경북도청(현 대구시청별관) 전경. 대구시 제공
옛 경북도청 부지와 삼성창조캠퍼스, 경북대를 잇는 공간이 22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정부의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지로 선정됐다.
도심융합특구는 국토부가 지역균형발전정책의 하나로 추진하는 플랫폼 사업이다. '판교2밸리'처럼 지방 대도시 도심에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는 산업·주거·문화 등 우수한 복합인프라를 갖춘 고밀도 혁신공간을 조성하는 게 골자다.
옛 경북도청 부지, 삼성창조캠퍼스, 경북대 3곳은 서로 반경 1㎞ 내에 인접해 있고 삼성창조캠퍼스와 경북대가 갖춘 각종 인프라와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특히 대구 도심지에 있어 인근에 산업, 교통, 문화 인프라가 골고루 잘 갖춰져 있다는 점에서 가능성을 높게 평가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지난 9월 국토부의 도심융합특구 조성계획 발표 이후 홍의락 경제부시장을 중심으로 공모에 발빠르게 나섰다. 경북대, 기업지원기관 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이전 공공기관이 함께하는 도심융합특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TF는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AI) 중심의 이른바 'DNA' 중심의 도심융합특구 밑그림을 그렸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이 공간에 기술혁신 핵심 인프라와 연구개발(R&D)시설, 혁신인재 양성체계, 창업 및 기업성장 지원체계 등을 갖춰 기업과 인재가 먼저 찾는 혁신의 산실로 만들 계획이다. 입주기업 500개사, 신규 일자리 1만개를 확보하고, 20~30대 고용비율 65%를 달성하는 게 목표다.
세부적인 그림을 그리고 내실을 채워나가는 것은 과제다. 도심융합특구 사업내용은 2021년 2월에 시작될 기본계획수립 용역을 통해 구체화된다. 도심융합특구는 '플랫폼 사업'으로 당장 확보된 것은 연구용역비 3억원이다. 대신 향후 국가공모사업 추진 시 대구도심융합특구가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어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국토부는 부산, 대전, 울산과도 도심융합특구 적정지역 선정 협의를 진행해 내년에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대구는 올해 가장 먼저 사업대상지로 선정되면서 상대적으로 풍부한 인센티브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또 도심융합 특구 지원정책이 제도화되는 과정에서 지역 사정에 보다 알맞은 방향에서 접근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지 선정은 대구에 내재된 혁신역량이 모이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대구형 뉴딜 도심융합특구가 한국형 뉴딜의 본보기이자, 지역혁신 성장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했다.
김윤기 기자 yoonki@imaeil.com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이 몰랐던 이건희 “임원의자 치워, 사원들 의자 좋은걸로” (0) | 2020.12.22 |
---|---|
‘아슬아슬’ 코스피, 순환매 장세 지속… 증권가 “주가수익률 부진 업종 주목” (0) | 2020.12.22 |
"이것"만 그대로 따라했는데 1년만에 "9억" 만들었어요...노하우 공개할게요! (0) | 2020.12.22 |
[2021 M&A 역대급 큰 장] PEF 100조 시대…내년 M&A 역대급 예고광고넘치는 자금에 매물도 많아 (0) | 2020.12.22 |
현대차, 세계 수소차 점유율 73.8% 압도적 1위…토요타 혼다 2, 3위 (0) | 2020.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