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7주년 봉오동전투 전승기념식
6월 7일 오후 2시, 서울 서대문 독립공원 독립관 강당에서는 여천홍범도 장군 기념사업회(이사장 이종찬)가 주최한 제87주년 봉오동전투 전승기념식이 열렸다.
이 날 기념식장에는 이봉춘 서울지방보훈청장, 남만우 광복회 사무총장, 김자동 임시정부기념사업회장, 함세웅 안중근기념사업회장, 우원상 대종교 선도사, 이기형(전 몽양 여운형 선생 비서) 시인, 김창 심산(김창숙 선생)아카데미 상임고문, 차영조 효사모(효창원을 사랑하는 모임) 대표, 신민부를 창설한 김혁 장군 손자 김진도 선생, 조만제 삼균(조소앙 선생)학회장, 홍만의 남양홍씨 종친회장, 특히 멀리 밀양에서 올라온 밀양문화원 손정태 이사와 약산 김원봉 선생 동생 김학봉 여사 등이 참석했다. 이 날 참석한 내빈 대부분은 일제 강점하 조국광복의 제단에 몸과 목숨을 바친 선열들의 유족이나 후손 분들로,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 길이 빛나는 최초의 대규모 대일 독립전 승첩 봉오동 전투를 기렸으며, 포수에서 독립군 사령관으로 이름을 떨친 불세출의 영웅 홍범도 장군의 영정에 머리 숙였다.
작은 목적을 양보하는 미덕 이날 기념식에서 이종찬 이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우리 젊은이들이 남미의 체게바라는 잘 알아도, 봉오동 청산리 전투의 영웅 홍범도 장군은 잘 모른다"며 "우리에게는 일제강점하 치욕의 역사만 있는 게 아니라, 자랑스러운 영광된 역사가 있다"고 역설했다. 함세웅 신부는 "큰 목적을 위하여 작은 목적을 양보하는 미덕이야말로 순국선열에게 바치는 가장 아름다운 선물"이라고 독립유관 단체와 남북정부에게 바라는 간절한 소망을 호소했다. 기념식에 이어 동북아 역사재단 연구위원 장세윤 박사의 "봉오동전투의 역사적 의의"라는 제목의 학술강연이 있었다. 장 박사는 홍범도 장군이 무식하다는 전래의 주장을 뒤집는 주장으로 주목을 끌었는데 그 근거로 유인석 의병장과 편지를 주고받은 점, 홍범도 장군의 서신, 창의대장 홍범도 장군 이름으로 발급된 사령장의 필체로 보아 상당한 학식을 닦았다는 견해를 밝혔다. 기념식에 이은 다과회에서는 독립운동가 유족과 후손들의 화기애애한 만남이 이어졌다. 이날 주인공은 약산 김원봉 막내여동생으로 임시정부 군무부장이었던 오라버니가 여태 서훈을 받지 못했다고 눈물을 흘리자 참석한 모든 이들이 관계 요로에 진정할 것을 약속하기도 하였다. '유류상종'이라 이 날 모인 참석자들의 조상은 대부분 만주대륙에서, 상해 와 북경 등지에서 일제에 맞서 신명을 바친 피로 맺은 동지들이 아닌가. 서로 반갑게 얼싸안는 이들의 얼굴에는 뭔가 아직도 응어리진 한을 풀지 못한 안타까움이 엿보였다.
2007-06-08 /박도 기자
|
'시대의 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역사 또 한 분 최고의 영웅 연개소문 (0) | 2007.12.12 |
---|---|
“·隋나라 명운 가른 탁월한 전략가 을지문득" (0) | 2007.12.12 |
우산도’는 역시 독도였다 (0) | 2007.12.04 |
일본 우익이 보는 한국인 (0) | 2007.11.29 |
나는 이래서 전두환.노태우를 감옥에 보냈다" (0) | 2007.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