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소리
[사설]靑 축소 개편 윤곽… ‘제왕적 대통령제’ 탈피할 첫걸음 되
갑희
2022. 4. 7. 13:57
[사설]靑 축소 개편 윤곽… ‘제왕적 대통령제’ 탈피할 첫걸음 되길
입력 2022-04-07 00:00업데이트 2022-04-07 09:08

정책실장직과 2개 수석직을 폐지하는 것은 바람직한 결정이다. 정책실은 노무현 정부 때 새로 만들어졌다가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서 없어졌던 조직으로 문재인 정부 들어 부활됐다. 정부 부처가 자율적으로 해도 될 일에 사사건건 개입하면서 ‘옥상옥’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일자리수석은 문 대통령의 ‘1호 지시’였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만들어진 자리다. 그러나 민간 영역의 일자리 창출엔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해 ‘일자리수석 일자리만 만들었다’는 풍자가 나왔을 정도다. 검찰과 경찰, 국세청 등 권력기관들을 관장하는 민정수석은 무소불위 청와대 권력의 상징으로 지목돼 왔다.
청와대 조직 축소와 함께 잘못된 행태도 개선되어야 한다. 청와대는 그동안 정부 부처 업무뿐 아니라 부처 인사에도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이 때문에 공직사회는 청와대의 눈치만 살피는 복지부동이 일상화됐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최근 윤 당선인에게 “인사권자가 책임 장관에게 (인사권을) 주면 공무원 사회 분위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말한 것도 이 같은 인식에서 나왔을 것이다.